-
안동교2011古文書硏究簡札은 조선조 학자들이 자신의 의사를 전달·소통하던 가장 보편화된 통신수단이었던 만큼, 현존하는 고문서 중에서도 가장 방대한 부분을 차지한다. 물론 모든 간찰이 사상과 문화의 측면에서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어떤 간찰에는 문집이 담지 못한 ``단편적``이면서도 ``특별한`` 정보들이 숨어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조선조의 사상·문화·인물을 연구하는 데 풍부한 상상력과 문제해결의 실...
-
김성수2009현대소설연구이 글에서는 근대적 글쓰기로서의 서간양식에 대한 본격 연구의 일환으로, 1900년대부터 30년대까지 간행된 대표적인 서간(서간집)의 역사적 변천과 문학사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대 이전과 이후 서간을 비교하면 한문 지식인이 서간의 중요한 기능의 하나로 여겼던 `철학적 의론의 장`이 사라지고 대신 개인의 발견을 위한 감정 전달이라는 고백적 글쓰기장이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