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성소윤 정이한을 경상도에 보내어 적왜를 국문하게 하다.
한성소윤(漢城小尹) 정이한(鄭而漢)을 경상도에 보내어 안숭직(安崇直)과 더불어 대마도에서 잡아 보낸 적왜(賊倭)를 국문하게 하였다.
-
왜적의 괴수와 참모한 자를 물어서 경중을 구분하게 하다.
안숭직(安崇直)․정이한(鄭而漢)이 치계하기를,
“지금 적왜(賊倭)를 국문하는데 약탈한 물건과 살해한 수를 모두 굳게 숨기고 승복하지 않아서 아직 실정을 얻지 못하였습니다. 적의 괴수는 시라사야문(時羅沙也文)입니다.”
하니, 회유하기를, ...
-
왜인 ․ 야인을 접대함에 허술함이 없게 하라고 이르다.
임금이 동부승지 정이한(鄭而漢)에게 이르기를,
“왜인·야인을 접대하는 것은 관계되는 것이 가볍지 않은데, 평안한 것이 몸에 배어, 해가 오래고 날이 깊어, 모든 일에 게으르고 늦어질까 두려우니, 마땅히 삼가 조심하기를 항상 하루같이 하여, 혹시라도 ...
-
좌승지 정이한이 우리나라는 삼면이 해변이라서 왜적의 침입에 대비하여 성보를 수축할 것을 청하다.
우찬성(右贊成) 정분(鄭苯)을 충청도․전라도․경상도의 도체찰사로 삼고, 성균관 사예 김순(金淳)과 이조정랑 신영손(辛永孫)을 종사관으로 삼아 연변 주현의 성터를 살펴서 정하게 하였다. 처음에 좌승지 정이한(鄭而漢)이 아뢰기를,
“우리나라는 북쪽으로 ...
-
삼도도체찰사 정분이 탐진에 성을 쌓고 읍을 설치하도록 청하다.
삼도도체찰사 정분(鄭苯)이 아뢰기를,
“강진(康津) 경재소(京在所)를 좌의정 황보인(皇甫仁)과 우부승지(右副承旨) 정이한(鄭而漢) 등이 상서한 속에서, ‘강진현(康津縣)은 탐진(耽津)과 도강(道康) 두 현을 합하여 이름을 붙이고, 인하여 두 현의 중...
-
우의정 정분이 삼도 연변의 여러 읍성 및 군용 등을 순찰하러 가기를 청하다.
우의정 정분(鄭苯)이 아뢰기를,
“의정부지인(議政府知印) 등이 하삼도(下三道)에 가서 살펴보았는데, 볏곡이 웬만큼 되어 실농이 심하지는 않습니다. 옛날에 문종께서 신에게 하삼도 여러 고을의 축성·제언(堤堰)·군용(軍容)의 여러 일을 감장(監掌)할 것...
-
도승지 박중손에게 명하여 정분을 교외에서 전송하게 하다.
도승지(道承旨) 박중손(朴仲孫)에게 명하여 정분(鄭苯)을 교외에서 전송하게 하였다. 이때 노산군(魯山君)이 어려서, 일의 대소가 없이 모두 의정부에 자문(咨問)하였는데, 정분이 멀리 나가기를 자청하니, 이때의 논의는 이를 비난하기도 하고, 혹은 그가 황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