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은광
    2017
    차문화ㆍ산업학
    19세기의 조선백자가 나타나게 된 본질적인 개념을 정리하고 그 백자가 갖는 정신성이 어떻게 흘러 왔는지도 함께한 본고는 원광대학교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이번 논문은 불교의 깨우침의 근본인 禪사상에서 전하고 있는 또 하나의 사상을 새롭게 겸하고 있으며 일본의 세계적인 석학이며 禪 美學자인 스즈끼 다이세스(鈴木大泏)의 학문적으로 미학적인 이론을 함께하고 있다. 그가 주…
  • 이진수
    2014
    차문화ㆍ산업학
    도천(陶泉) 천한봉(千漢鳳, 1933~)은 1995년에 대한민국 명장(제95-19호)으로 지정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도예가이자 2006년에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사기장(제32-나호)으로 지정된 차 도구 제작의 명인이다. 일본다도의 정신에 부합하는 조선다완의 재현을 목마르게 기대하던 일본의 차인들과, 이들을 대표한 사쿠라가와 스님의 방문을 통해 천한봉은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도예 인생을 살게 되었다. …
  • 이진미
    2011
    차문화ㆍ산업학
    고려다완은 한국의 차 문화가 만들어낸 가장 대표적인 문화이자 가장 독창적인 문화의 사례로 꼽힌다. 또한 이 다완은 조선의 사기장들이 만들어내고 일본의 차인들이 널리 사용함으로써 명품 다완의 반열에 올라서게 되었다. 양국의 사기장과 차인들이 어우러져 만들어낸 인류의 귀중한 문화 가운데 하나가 바로 이 고려다원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고려다완을 계기로 조선은 최고의 다완을 만들어내는 나라로 인정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