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석규2016동아시아 문화연구본 논문은 동강 김우옹의 민본사상을 살펴본 것이다. 그는 유교 정치사상에서 명분론과 민 본론이 절대적 가치임을 인식하였다. 그러나 양자는 현실 정치에서 항상 충돌의 가능성을 안고 있었다. 김우옹은 양자의 충돌 가능성을 군민일체론을 통해 해소하고자 하였다. 즉 군주와 민의 관계를 부모와 자식의 관계로 의제화하고, 부모와 자식이 일체인 것처럼 군주와 민도 일체라는 것이다. 이 논리에서는 민에 대한 일방적…
-
마영진201221세기 한국 사회는 선진국의 궤도를 달리며 전 세계적으로 그 위상과 뛰어난 업적들을 과시하고 있다. 글로벌 시대에 주목을 받고 있는 오늘날 우리사회는 국민이 국가의 주인이라는 민주주의 이념을 추구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 사회의 모습을 보면 국가의 주인인 국민들이 국가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있으며, 국가의 주요한 정책에 의견을 제시하는 등의 부분에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
-
장부규2007다산 정약용(1762년-1836년)은 조선 후기 실학(實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집대성한 학자이다. 그는 조선이 안고 있는 사회 전반에 대하여 그 진상을 꿰뚫어 보고 그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냉정하게 비판 한 후에 이에 대한 다각적인 행정개혁을 제시하였다. 공무원의 윤리, 인사, 기술개발, 사회복지, 토지개혁, 세무행정, 행형(行刑), 군정(軍政) 등 그의 생각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방대한…
-
金德均2004남명학연구이 논문은 16세기 조선시대의 南冥 曺植(1501-1572)의 정치사상과 17세기 명말청초의 鑄萬 唐甄(1630-1703)의 정치사상을 비교한 논술하였다. 두 사상가는 130년이란 시대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마치 한자리에서 같은 주제를 갖고 토론하며 교유한 듯 여러 방면에 걸쳐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부패하고 부조리한 정치현실에 대한 강력한 개혁의식과 실천정신은 그야말로 不謀而合이라 할 수 있다.…
-
김인묵200117세기 이후 조선사회는 봉건적 질서의 해체기로써 당시의 지배이데올로기였던 성리학적 이념과 가치를 대체하는 새로운 사회개혁 세력으로써 ‘실학’이 등장하면서 급격한 사회변화의 기운이 일어나던 시기였다. 다산 정약용은 실학사상을 체계적으로 발전·집대성한 대학자로서 당시 조선왕조의 시대적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개혁방안을 내놓았는데 이러한 사회개혁안들은 민본사상을 토대로 하고 있다…
-
안병주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