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찬란
    2017
    본 연구는 정전이자 고전인 <사미인곡> 텍스트가 가진 당대의 창작 상황과 정서로 인해 학습자들이 그 감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사미인곡> 텍스트 안에 많은 의미가 있더라도, 능숙한 독자가 아닌 학습자는 <사미인곡>의 내부에서 의미를 찾기 힘들다. 이에 텍스트 내부에만 머무르지 않고 외부로 뻗어나가며 학습자의 내재 텍스트와 단계적인 마찰…
  • 조수현
    2010
    고려속요는 솔직한 민중들의 애환과 삶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학적 가치를 지닌다. 고전문학의 연구는 작품을 통해 선인들의 생활모습이나 사상 등을 독자들에게 전달해 주는데 궁극적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당시의 사회적 현실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그 작품이 지닌 의미와 사상이 제대로 드러날 수 있게 힘써야 한다. 본고에서는 고려속요의 화자에 집중하여 논의를 전개하…
  • 임소영
    2010
    고려 속요 작품은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아름다운 우리말과 리듬감 있는 여음 구, 애뜻 하고 아름다운 정서를 가지고 사랑 받고 있다.작품마다 보이는 이러한 주제와 정서는 고려 당대 뿐만 아니라 후대의 독자들까지 공감하게 하는 보편성을 지녀서 독자들은 보편적으로 느낄 수 있는 감정을 토로하고 있는 여성 화자의 메시지에 공감하면서 향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받아들여진다. 이렇게 다양함 속…
  • 양은희
    2000
    본고는 현존 고려속요 가운데 나타나는 여성화자의 특성을 살피는데 목적을 두었다. 화자에 관한 연구는 서정양식에 속하는 속요도 소통의 일종이라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고는 텍스트 내 소통에 주목하여 ‘화자 - 메시지 - 청자’의 관계를 기본 층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