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은영2021한국무용연구본 연구에서는 『고려사』「악지」, 『악학궤범』, 『정재무도홀기』를 분석하여 각 문헌 별 기록 방식의 상이점과 춤 형상화 과정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고려사』 「악지」는 기술형으로 기록되어 있다. 기술형은 〈연화대〉의 서사를 전달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일 뿐만 아니라 그것의 춤 문화 배경을 ‘설화성’으로 규정하는 포인트가 되고 있다.『고려사』「악지」와 비교해 『악학궤범』은 두 동녀가 1:1 대칭을 이…
-
신태영2015국악원논문집대체로 고려의 당악정재는 송나라에서 전래했거나 송 조정이 고려 조정에 보내준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논자는 이러한 견해에 따라 송 교방악이 고려에 수용된 과정을 검토하다가 몇 가지 의문이 생겼다. 고려의 당악정재가 모두 송에서 전래된 것이라면, 중국 문헌에 그…
-
이해주1988본 논문은 전통 궁중무용 중에서, 唐樂呈才 양식인 연화대무의 내용과 형식 및 제반적인 요소들을 옛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며 불교에서의 연화의 상징적 의미를 찾아내어, 서로의 공통점을 연화에서 찾아서 연화대무의 깊은 뜻을 알고져 함이다. 또한 궁중呈才에 관한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