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혜민2021東洋古典硏究〈화사〉의 형식인 ‘역사서 체재’는 소설의 서사성을 떨어뜨리는 결점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문학과 역사의 결합은 중세문학의 특징이기도 하다. 문(文)⋅사(史)⋅철(哲) 통합적 글쓰기는 가전체소설 작품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화사〉의 문학성과 소설사적 의의는 사서체재를 규명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이에 본고는 〈화사〉의 역사서 형식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화사〉의 선본인 백호문집본과 조선시…
-
이창희2013民族文化硏究이 글은 백호 임제의 한시에 나타나는 미적 특질을 시적 화자의 유형과 심미성의 상관관계를 통해 해명하고자 한 시론적 고찰이다. 백호 시의 경우 사대부남성에서 기녀까지 다채롭고 편차가 큰 화자가 한 자리에 존재한다. 적어도 화자만 놓고 보면 한국 한시사에서 백호만큼 다양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백호 시의 개성적 국면과 미적 특질을 화자의 제 양상과 연계하여 살펴보는 것은 유효한 접근법으로 보…
-
김인아2004白湖 林悌(1549-1587)는 조선의 봉건적 규범 사회 내부에서 보기 드물게 호연한 기개와 열정을 가지고, 시대의 각종 모순과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려 했던 인물이다. 그러므로 그의 문학정신은 세상에 대한 우수와 불만을 문학 속에서 확인시키고 있다. 문학…
-
박욱규1991白湖 林悌는 조선 왕조 선조 때의 문인이다. 그는 가문의 문무적 영향을 받으며 성장하였으며, 성장기에는 仲父 復과 金欽의 영향으로 문학적 자질이 계발되었다.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문학적 배경으로 말미암아 시문활동에 관심을 갖고, 成運을 만난 후 본격적으로 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