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엽이 경상도 좌우수사의 군졸 침탈에 대해 재조사할 것을 아뢰다.
    검상(檢詳) 허엽(許曄)이 삼공의 뜻으로 아뢰기를, “경상도의 좌우수사를 모두 군졸을 침탈한 것으로 논하여 파직하였는데,【김홍도(金弘度)가 감군어사(監軍御史)로 있을 때 군민들의 호소를 듣고 와서 아뢰었기 때문이다.】병사 역시 파체(罷遞)하게 되었습니다…
  • 사예 김홍도가 지어 올린 대책을 가지고 관원에게 책문을 시험하다.
    사예(司藝) 김홍도(金弘度)가 지어 올린 대책을 가지고【선시선종(善始善終)의 글제로 삼아 독서당(讀書堂) 관원에게 책문을 시험하였다.】정원에 전교하기를, “홍도의 대책【나장(羅將)조선시대 병조에 속한 하급직원. 나졸(羅卒)이라고도 하며, 칠반천인(七般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