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치억2017儒學硏究대동사회(大同社會)는 모든 사람이 꿈꾸는 이상적인 사회이다. 그러나 그 실현가능성 에 대해서 긍정적인 견해를 가진 사람은 많지 않다. 그러나 퇴계(退溪)는 대동사회에 대 한 실현가능성을 의심치 않았다. 퇴계의 철학은 리(理)를 존숭하고 우위에 놓은 주리철학...
-
강경현2017泰東古典硏究이 글은 퇴계 이황의 리에 대해 해방 후 한국에서 이루어진 해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일반적으로 퇴계학의 리 이해는 주자학에 대한 해석의 색채가 짙은 조선 유학에 한국 철학적 독자성을 부여해주는 핵심 사유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퇴계학의 “리동”...
-
이승환2016儒學硏究이 글에서는 퇴계의 리발(理發) 설과 관련하여 조선유학 연구자들이 흔히 범하는 오해 몇 가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자들이 ‘리발’과 관련해서 흔히 가지는 오해는 다 음 세부 주장들을 포함한다. ①퇴계의 ‘리’는 존재론적 토대인 ‘기’와는 상관없이 ...
-
김동숙2016儒學硏究본 논문은 『大學』의 正心工夫에 대한 퇴계와 고봉의 논의를 중심으로, 퇴계의 소종래로서 정의된 사칠 개념으로는 해명이 어려워 보였던 四端不中節 · 七情中節 현상이 수양론적 측면에서 마음의 主宰문제와 연결되어 설명될 수 있음을 확인한 후 그의 사칠론을 새롭게...
-
이치억2016儒學硏究退溪 四七論은 理發說 또는 四端 중심의 理氣互發說로 특징지어지며, 현대의 연구도 그것을 중심으로 하여 진행되어 왔다. 퇴계가 사단과 칠정을 理發과 氣發로 나눈 것은 도덕감정인 사단의 순선함을 확보하고, 기발인 칠정을 잘 제어하여 악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려는...
-
장우재2016儒學硏究본고는 퇴계 이황의 수양(修養)과 임마누엘 칸트의 도야(Bildung)를 비교 고찰한 것이다. 퇴계는 리(理)에 근원을 두는 도덕 감정의 발출을 고민한다. 여기에서 성향으로서의 리발(理發)에 기반한 수양은 누구에게나 내재하는 도덕적 본성이자 리에 근원하는...
-
오지환2016儒學硏究이 논문은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이 바라보는 선비의 모습 즉, 선비관에 관 한 연구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퇴계의 삶 속에 나타난 선비의 모습을 다루고 있다. 그래 서 이 글은 퇴계가 바라는 바람직한 선비의 모습에 대해서 퇴계전서를 중심...
-
이진수2015차문화ㆍ산업학효란 부모와 자식 사이의 질서를 밝힌 도덕규범으로, 자식이 부모에 대하여 경애의 마음으로 행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인간이 지켜야할 근본인 예를 강조한 퇴계 이황은 예교육을 통한 선비 양성에서 효가 기본이 되는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퇴계 이황이 아...
-
전성건2014泰東古典硏究17~18세기의 퇴계학파는 노론의 학문적이고 정치적인 압박이 본격화됨에 따라, 이에 학파적인 결속을 강화하고 확장해야 하는 시기로 인식하였다. 노론은 퇴계의 호발설을 중심으로 퇴계학설에 대한 비판을 본격화했으며, 영남남인을 회유하는 등 정치적인 입장에서...
-
엄연석2013한국민족문화본 논문은 퇴계가 山水를 읊은 詩와 歌曲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산수 문학에 『주역』적 원리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으며 그 도덕적 이상을 어떻게 그리고 있는가 하는 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퇴계는 자연의 산과 내, 돌과 물, 그리고 솔과 대나무 숲과 같은 경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