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상모2016儒學硏究본고는 최치원의 「난랑비서(鸞郞碑序)」에 내재된 고운 풍류사상(風流思想)의 주체성 과 고유성을 검토하고, 고운의 풍류 사상이 그의 서예미학에 어떻게 발현되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는 ‘신라에 풍류라는 현묘지도(玄妙之道)가 있는데, 그 핵심은 삼 ...
-
엄연석2016泰東古典硏究본 논문에서는 『소학』을 통한 유학의 도덕적 실천적 측면을 강조했던 김종직이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성리학적 측면에서의 경학사상적 근거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그의 경학사상에 기초한 경세론이 어떻게 일관성 있게 관...
-
도민재2016儒學硏究본 논문은 남계 박세채(1631~1695)의 예서(禮書)인 『삼례의(三禮儀)』 중, 「제례의(祭禮儀)」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제례의」는 『가례』의 절차를 기준으로 하면서, 필요한 내용을 각종 예서와 시속(時俗)을 통해 보완하여 현실적인 제례의 시행에...
-
최재목2016儒學硏究이 논문은 고려말 귀국을 포기하고 명나라로 망명한 유학자로 말해지는 농암(籠巖) 김주(金澍. 1355-1392)에 대한 ‘기억’ 형성을 인문적으로 성찰해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암은 <고려 공양왕 때 하절사로 중국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압록강에 이르러 망국의 소식을 듣고 통곡하면서 부인 유씨에게 서신을 보내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으니 내가 강을 건너면 몸 둘 곳이 없노라. 서신 보낸 날을 나의 기일로 하라.”고 전한 후 고국에 돌아오지 않았다>고 전해지는 인물이다. 이렇게 보면 농암은 망명 지식인으로서 분명 디아...고려>
-
이원준2016儒學硏究본 논문은 대산 이상정(大山 李象靖, 1701∼1781)의 물격설(物格說)과 리활물설(理活 物說)을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의 이도설(理到說)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그 사 상사적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퇴계의 이도설은 인식론적 명제인 물격에...
-
김승영2016儒學硏究최근 문화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새로운 소재 개발을 끊임없이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유교문화에 대한 관심이 전통과 현대라는 두 축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면서 시간과 공간이라는 상호교차적인 문화콘텐츠에 관심을 갖게 된다. 이것은 지 리적...
-
고경석2016충무공 이순신과 한국 해양
-
김보정2016한국민족문화
-
석영달2016충무공 이순신과 한국 해양
-
강미애2016차문화ㆍ산업학필자는 본 논문에서 '인성(人性)'을 회복시키는 한 방법으로 북송 동파 소식(東坡 苏轼, 1037-1101)과 고려중엽 백운거사 이규보(白雲居士 李奎報, 1168-1241)의 인성다도관을 연구하였다. 소식과 이규보 두 인물은 인애(仁愛)가 풍부한 다인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