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황기2016동서철학연구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life and the scholarship of HanWolDang(寒月堂) Kim Sang Jung(金商釘, 1852∼1954, he rein after refer to as HWD). He was ...
-
A. Charles Muller2016불교학 리뷰본질-작용(體用, Ch. ti-yong, J. tai-yū; 일본에서 불교학 이외의 연구에서는 tai-yō) 패러다임은 기원전 5세기부터 근대 시기에 이르기까지 중국, 한국, 일본의 종교・철학적 문헌을 해석할 때에 가장 널리 사용된 해석학적 틀로 볼 수 있...
-
서준섭2015한중인문학회 국제학술대회
-
이상균2015문화재보물 제165호인 오죽헌은 강원도 내에 남아있는 조선전기 가장 이른 시기 사대부 주택의 별당이다. 집의 형태적 측면은 건축사 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특히 신사임당이 율곡 이이를 낳은 집으로 유명하다. 강릉최씨 가문에 의해 처음 지어졌으나 자녀균분상...
-
노재준2015泰東古典硏究본고는 고려의 문인들이 유신임을 자처하면서 유가 경전의 하나인 『시경』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접근하고 있으며, 『시경』을 통하여 어떠한 이념과 주장을 피력하고 있는지 그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임춘과 이규보는 성리학의 세례를 받지 못한 유신...
-
양희철2015人文科學論集In this paper, we looked upon unity and structure in linke d Si-Jo
written by Go-San. The result is as follo w; 1. We understood sequential unity from the first unit to t he sixth unit. 2. We understood symmetrical un... -
전재동2015우암논총
-
안세현2015강원문화연구
-
곽은정2015東洋學柳夢寅의 시에는 ‘蓬’이라는 詩語가 자주 등장한다. 이것은 그의 자아 인식 및 내면 의식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蓬’이라는 자아 형상을 통해 그가 스스로를 세상 속의 ‘나그네’ 혹은 ‘이방인’으로 인식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
-
신규탁2015한국선학필자는 이 논문에서 “지눌(知訥)은 정토사상(淨土思想)을 수용했다”라고 주장함과 동시에 이런 필자의 주장에 근거를 제시했다. 현재 한국의 불교학계에는 지눌의 정토사상 수용 여부에 대하여 상반된 입장이 발표되었다. 심재룡 교수(1990)는 지눌은 정토사상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