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韩国学综合DB
登入加入会员顾客支援
语言变更
...
检索
문집 & 사료 콘텐츠
韩国历代文集DB
韩译高丽史DB
韩日关系史料集成DB
韩国文集丛刊DB
지리역사 콘텐츠
韩国地理风俗誌丛书DB
满蒙地理历史风俗志丛书DB
其他
지명콘텐츠
한국학 연구논문 콘텐츠
고전번역 콘텐츠
古典翻译书 DB
登入加入会员顾客支援
语言变更
检索

한국학 연구논문 콘텐츠
MKSDB / DB / 한국학 연구논문 콘텐츠

新編諸宗敎藏總錄
  • A到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全部
  • DATABASE
  • 종류별
  • 시대별
  • 주제별

韩国研究内容 20231
种类
최근 발행년순
  • 한국역대문집DB
    |
    학위논문
    義天의 불교통합 시도와 그 추이
    채상식
    2015
    한국민족문화
    義天(1055∼1101)의 행적은 불교통합 시도로 귀결된다.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다음의 몇 가지 방향에서 종합하고 재검토해 보았다. 첫째, 의천이 천태종을 개창하게 된 사상적인 배경은 중국 천태종의 사상체계를 慈辯從諫을 통하여 계승한 智者大...
    #의천 #불교통합 #천태종 #화엄종 #숙종 #Uicheon #Unification_of_Buddhism #the_Cheontae_Order #the_Hwaom_Order #King_Sukjong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한국역대문집DB
    |
    만몽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고려대장경의 사상사적 의의
    정병삼
    2011
    불교학연구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송의 開寶版 대장경이 『開元錄』을 바탕으로 983년에 간행된 이래 3차에 걸친 증보되었다. 개보판 대장경은 곧 고려에 전래되었고, 이에 자극받은 불교계의 의지는 마침 일어났던 외침을 계기로 1011년에 초조대장경 조판 사업을 시작하였다....
    #고려대장경 #초조 #재조 #교장 #신편제종교장총록 #신조대장교정별록 #개보판 #외장(보유판) #Goryeo_Daejanggyeong #First_Goryeo_edition #Second_Goryeo_edition #Gyojang #Sinpyeon_Jejong_Gyojangchongrok #Sinjodaejang_Gyojeongbyeollok #Kaibao_Dazangjing #subjoinder_edition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한국역대문집DB
    |
    학위논문
    고려 諸宗敎藏의 가치와 의의에 관한 연구
    김성수
    2011
    불교학연구
    이 논문은 ‘「교장총록」의 분류체계’ 및 ‘현존 제종교장의 서지적 분석’ 등을 고찰함으로써 고려 제종교장의 가치와 의의를 導出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제종교장은 「신편제종교장총록」의 편성에 입각하여 彫印한 것이기 때문에, 「교장총록...
    #諸宗敎藏 #신편제종교장총록 #분류체계 #의천 #교학사상 #제종교장의_현존본 #서지적_분석 #Jejong_Gyojang(諸宗敎藏) #Sinpyon_Jeong_Gyojang_Chongnok_(新編諸宗敎藏總錄) #classification_scheme(分類體系) #Uicheon(義天) #‘the_idea_of_Gyohak(敎學)_by_Uicheon’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한국역대문집DB
    |
    학위논문
    禪과 淨土
    정광균
    2009
    한국선학
    불교의 수행은 일반적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自力的 禪修行이며, 다른 하나는 종교적 믿음에 의한 정토수행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행은 특이성과 동질성, 그리고 일치성을 갖는다. 특이성이란 선은 현세에서 자력으로 수행하여 깨달음을 완성하여 성불하...
    #선(禪) #정토(淨土) #특이성(特異性) #자력(自力)의_선(禪) #타력(他力)의_정토(淨土) #아미타불(阿彌陀佛)의_서원(誓願)과_자비(慈悲) #동질성(同質性) #일치성(一致性) #도신(道信) #영명연수(永明延壽) #서산휴정(西山休靜) #깨달음 #Seon #Pure_Land #Meditation_of_one`own_strength #Pure_Land_of_religious_belief #Amitabha_Buddha`s_vow_and_mercy #Peculiar_quality #The_same_quality #Complementarity #Dochin #Youngmyung_Yeonsoo #Seosan_Hyuchong #Enlightenment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한국역대문집DB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高麗時代 海東佛敎 典籍의 中國 流通에 대하여
    석길암
    2007
    불교학연구
    Requesting Dharma, or going to China to learn Buddhism, is a key term which prescribes relation between Chinese Buddhism and Korean Buddhism, and a word that used in emphasizing introducing Chinese Buddhism into Korea. It m...
    #구법(求法 #learn_Buddhism) #해동불교전적(海東佛敎典籍 #Korean_Buddhist_Texts) #고려불교(高麗佛敎 #Goryeo_Buddhism) #원효(元曉 #Wonhyo) #의통(義通 #Uitong) #제관(諦觀 #Jegwan) #의천(義天 #Uicheon) #지눌(知訥 #Jinul) #혜인원(慧因院․高麗寺 #Huiyin-yuan_Temple)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한국역대문집DB
    |
    학위논문
    고려 선종대의 대외정책 연구
    류채영
    2005
    한국문화연구
    본 논문은 고려의 대외관계가 복잡해지는 11세기 후반 중에서 특히 선종대에 초점을 맞추어, 선종대의 대외관계 추이를 구체적으로 살피고 그것을 토대로 대외정책의 성격을 설명하고자 했다. 문종 25년 요와 조공관계를 맺고 있던 고려가 송과 국교를 재개하면서...
    #고려_선종 #대외정책 #각장 #사행무역 #대송관계 #대요관계 #의천의_입송 #King_Seonjong #Gakchang_Market #Foreign_policy #relation_with_Sung #relation_with_Liao #Enterance_into_Sung_of_Uicheon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한국역대문집DB
    |
    학위논문
    杭州慧因院(高麗寺)における華嚴學の動向
    吉田剛
    2004
    불교학연구
    본고는 북송대 화엄을 부흥시킨 진수 정원(晉水淨源, 1011-1088)이 만년에 주석한 이후, 송대 화엄학의 중심지로 부상한 항주 혜인원(杭州 慧因院 일명 고려사)에서 전개된 화엄학의 동향에 대해서 논하였다. 혜인원은 항주에 최초로 화엄을 전한 시방교원(十...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한국역대문집DB
    |
    학위논문
    고려시대 大藏經의 歷史
    한보광
    1999
    전자불전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한국역대문집DB
    |
    학위논문
    元曉와 芬皇寺 關係의 史的 推移
    南東信
    1999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원효 #분황사 #관계 #추이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한국역대문집DB
    |
    학위논문
    고려 僧統 의천의 入宋 求法 雲遊記
    최봉춘
    1998
    한중인문학연구
    고려 불교사에서는 물론 宋麗 佛敎文化교류사에 있어서도 고려 우세승통 의천의 지위는 자못 중요하다.
    阅读更多 查看原文

First PagePreview Page123Next PageLast Page총 21건



미디어한국학
公司简介 | 顾客支援 | 使用条款 | 隐私权政策 | 管理局管理页面
MEDIA韩国学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445-1 경인빌딩 B동 4층 | 0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