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정화2021古典文學硏究한문산문사에서 고려 중기는 형식적으로 騈體에서 散體로 완전하게 전환되고, 공용적 실용문을 탈피하여 개인성이 발현되는 산문이 창작되어 문학적 전환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하지만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했다는 학계의 통설 때문에 고려 중기는 고문에 성취를 보지 못한 ‘적막한 시기’로 규정되고 있다. 본고는 이를 반박하기 위해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고려 중기의 한문산문 창...
-
조정윤2009본 논문은 조선중기 문장사대가의 한사람인 谿谷 張維(1587~1638)의 산문작품을 문류별 분석을 통해 그 산문의 특징과 산문사적 의의를 구명한 것이다. 박람한 독서와 다양한 사상의 섭렵으로 실리적이고 합리적인 학문관을 견지하였던 장유는, 문장에 있어서는 옛것을 모의하는 인공적인 글쓰기를 경계하고, 진실된 마음에서 발로되는 글쓰기를 주장하였으며, 辭理가 兼備된 문장을 추구하였다. 장유의 설...
-
백진우2008韓國漢文學硏究이 논문은 18세기 전반 영조 재위기에 정계와 문단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했던 집권 노론계 문인들의 창작 성향 일면을 살핀 것이다. 이 시기 집권 노론계의 대표적인 문인으로 황경원·남유용·이천보를 들 수 있다. 이들에게는 비록 작가 개인으로서 차별되는 문학적 지향이 있기는 하였지만, 작가 집단으로서는 일정한 범주 안에서 문학적 지향을 함께 하였다. 그리고 그 문학적 지향은 이들의 정치적 입지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