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주2006퇴계학과 유교문화
-
이군선2005퇴계학과 유교문화조선 중기 퇴계의 문하에는 유수의 학자들이 모여 학문에 잠심하였다. 한 학자에게서 이렇게 많은 학자와 문인이 배출되어 학단을 형성한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그리고 이 학맥은 꾸준히 전개되어 조선 학술사에 유래가 없는 풍성한 업적을 남겼다. 퇴계의 학맥이 지속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인가? 梅軒 琴輔의「陶山記考證」과「靜存齋箴考證」은 그 단서를 푸는 열쇠라고 생각한다.「도산기고증」과「정존재잠고증」...
-
이정화2004퇴계학과 유교문화누정시는 景物詩 가운데서도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퇴계학맥을 창도한 퇴계의 경우, 實景을 묘사하는 敍景은 하지 않고, 대상의 내재적 의미를 확인하거나 드러낸 시편이 많다. 퇴계의 嫡傳인 학봉의 누정시에서 寫景의 비중이 크지 않은 것은 그가 바로 스승퇴계...
-
이정화2004退溪學과 韓國文化누정시는 景物詩 가운데서도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퇴계학맥을 창도한 퇴계의 경우, 實景을 묘사하는 敍景은 하지 않고, 대상의 내재적 의미를 확인하거나 드러낸 시편이 많다. 퇴계의 嫡傳인 학본의 누정시에서 寫景의 비중이 크지 않은 것은 그가 바로 스승 퇴...
-
이정화2004退溪學과 韓國文化누정시는 景物詩 가운데서도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퇴계학맥을 창도한 퇴계의 경우, 實景을 묘사하는 敍景은 하지 않고, 대상의 내재적 의미를 확인하거나 드러낸 시편이 많다. 퇴계의 嫡傳인 학본의 누정시에서 寫景의 비중이 크지 않은 것은 그가 바로 스승 퇴계와 같은 도학적 시인임을 입증하는 것이 되며, 이것이 학본의 누정시와 퇴계의 그것에서 보여지는 공통된 특징이라 하겠다. 특히, 학봉은 스승 퇴...
-
이정화2004퇴계학과 유교문화누정시는 景物詩 가운데서도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퇴계학맥을 창도한 퇴계의 경우, 實景을 묘사하는 敍景은 하지 않고, 대상의 내재적 의미를 확인하거나 드러낸 시편이 많다. 퇴계의 嫡傳인 학봉의 누정시에서 寫景의 비중이 크지 않은 것은 그가 바로 스승퇴계와 같은 도학적 시인임을 입증하는 것이 되며, 이것이 학봉의 누정시와 퇴계의 그것에서 보여지는 공통된 특징이라 하겠다. 특히, 학봉은 스승 퇴계...
-
황위주2003退溪學과 韓國文化본고는 서울 경기지역 퇴계 문인의 실상과 그 성격을 집중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서울 경기지역 퇴계 문인들이 그 수에 있어서는 경상북도 지역 다음으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대체로 퇴계 이전에 이 일...
-
姜玟求2002退溪學과 韓國文化李楨(1512∼1571)은 16세기에 泗川에서 출생하여 당대 성리학의 대가인 宋麟壽(1487∼1547)와 李滉을 師事하여 그들의 학통을 실천적으로 계승한 인물이다. 李楨은 30세 되던 해인 1541년 榮州郡守로 부임하고 도산으로 퇴계를 찾아가 그의 門人이 ...
-
姜玟求2002退溪學과 韓國文化李楨(1512∼1571)은 16세기에 泗川에서 출생하여 당대 성리학의 대가인 宋麟壽(1487∼1547)와 李滉을 師事하여 그들의 학통을 실천적으로 계승한 인물이다. 李楨은 30세 되던 해인 1541년 榮州郡守로 부임하고 도산으로 퇴계를 찾아가 그의 門人이 되었다. 이것이 泗川地域에서 李楨이 性理學을 창도하게 된 계기이다. 이정은 성리학의 조선적 전개를 적극 실천하였으니, 그 대표적인 양상은 성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