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동원2022동양예술Hyunjae Sim Sa-jeong (1707-1769), a representative literary artist of Joseon, painted the most paintings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
박희선2019차문화ㆍ산업학Korean tea culture has developed as one of the elements which form the national spirit in our traditional culture through our long history. 'Da...
-
김창배2017차문화ㆍ산업학Tea is said to be synthetic culture and arts. Since the Goryeo Dynasty period, the tea culture has been enjoyed and recently, the culture with ...
-
최성민2016차문화ㆍ산업학As the korean tea production has been newly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16, Korean Tea(cha) is again being focused on. In t...
-
탁효영2004우리의 음다풍속이 7세기에 자리잡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사료는, 『삼국 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차는 선덕여왕(632-647) 때부터 있었다."라는 기록으로 적어도 647년에는 차나무나 음료로서의 차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신라시대에 성행...
-
김현정2004우선(藕船) 이상적(李尙迪, 1803~1865)은 중인(中人) 출신의 역관으로서, 12차례나 연행(燕行)에 참가하면서 100여명이 넘는 중국 문사들과 폭넓은 교류를 하여 중국의 음다문화를 체득하였다. 또한 국내의 문사다인(文士茶人)들과의 교유도 친밀하였다....
-
김재임2001조선시대 다화(茶畵)는 주로 화원출신의 화가들이 그린 것으로 그 당시 사대부 양반의 도교적인 철학사상과 유교적인 선비사상이 잘 반영된 화풍으로 인간과 자연과의 조화를 이념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다화는 산수화, 풍속화, 민화 등 여러 종류에 다양하게 분포...
-
정은희2001우리나라에 茶가 전래된 이후 不發酵茶인 綠茶와 함께 醱酵茶를 대중적으로 飮用했음을 많은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다. 흔히 쓰는 표현인 '茶褐色'이 '조금 검은 빛깔을 띤 赤黃色'의 의미라는 것은 예로부터 醱酵茶를 대중적으로 마셨다는 증거이다. 본 論文은 文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