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영2022역사와 경계본고는 실학의 ‘實用’과 ‘近代性’의 정신이 다산의 형정사상에 어떻게 녹아있는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요컨대 다산의 사상에 있어서 진리는 삶에 유용한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형정부문에 있어서 ‘실용’이라 함은 민들의 기본적 인권이 보호를 받고 사법적 정의가 이루어지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그 무엇이다. 다산은 형정의 폐단을 지적하고 그 개선책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러한 개혁이 없으면 실용적...
-
주인석2022민족사상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public service ethics universally applied to both appointive local administrators in the Joseon Dynasty and to...
-
황민선2017본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원림시를 통해 조선 후기 대표적 실학자의 이상공간과 그에 대한 시적 구현을 살피고자 하는데서 출발했다. 다산의 원림시는 그동안 한시 연구에 있어서는 현실 비판 의식이 담긴 사회시나 농민시에 편중된 연구 경향으로 인해 제대로 된 분류나 평가가 없었고, 원림 연구에 있어서는 조선 후기 도시형 원림이라는 독특한 원림 조영 문화를 살피는데 극히 일부만이 부수적인 자료로써 논의 되...
-
김혜련2017동서철학연구茶山學에 관한 연구는 남한은 물론 북한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분단 70주년을 넘어선 한민족에게 있어서 민족의 통일은 중대한 문제이며, 민족주의는 철학에 있어서 주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본고는 다산학에 관한 민족주의적 관점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그것이 지니는 현대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는 남과 북의 철학계가 동시에 우리민족의 대표적인 철학자로 추앙하는 다산 정약용의 학문에 관...
-
김부찬2016동서철학연구茶山 丁若鏞은 조선 실학의 완성자로 알려져 있으며, 退溪 李滉과 栗谷 李珥 이후 조선 성리학의 새로운 개척한 인물이다. 그의 사상은 經學과 經世學의 두 분야로 대별되며, 경학은 朱子의 四書集註에 대한 비판과 원시유학에 대한 관심을 통하여 새로운 학설을 주장하였으며, 경세학은 민본주의의 입장에서 기술되어있다. 본고에서는 다산학의 여러 분야 중 체육철학적 관점에서 그의 신체관과 수양론을 살펴보고, 그...
-
김선희2015民族文化이 논문은 20세기 초반에 이루어진 성호, 연암, 다산 등 18-19세기 저술들의 公刊을 통해 근대 계몽기 지적 공인의 방식과 목적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조선의 지적 전통이 ‘구학’이라는 시간성의 각도에서 조명된 것은 20세기 이후 제국주의 일본이라는 타자와 대면한 이후였지만 모든 전근대 문헌이 곧바로 구학으로 편재되어 폐기된 것은 아니다. 20세기 초에 연활자와 근대식 출판 기...
-
김혜련2015한국선학본고는 『논어』에 대해 주석한 『논어점정』과 『논어고금주』를 통하여, 중국과 한국 그리고 불교와 유학에서 탈주자학적 『논어』 이해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논어점정』은 명말 청초의 대표적 불교사상가인 우익 지욱(藕益 智旭, 1599-1655)이 『논어』에 대해 주석한 저술이고, 『논어고금주』는 조선 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이...
-
정민2010동아시아 문화연구이 글은 다산 정약용(1762~1836)의 여러 글을 통해 이상적인 주거에 관한 그의 생각을 살펴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18, 19세기 조선에서는 이상적 주거공간 구성에 관한 논의가 유행처럼 번졌다. 삶의 질을 높이려는 웰빙 추구의 한 흐름이었다. 문인 학자의 주거공간과 그 주변은 어떻게 구성해야 좋을까? 다산은 이상주거에 대한 자신의 구상을 여러 글에서 반복적으로 피력했다. 그는 서울의 좁은 ...
-
최재목2010다산학이 논문은 일제 강점기의 주요 신문과 ‘잡지’에 게재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하 ‘다산’ 혹은 ‘정다산’) 관련 기사 및 논고를 토대로 당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재발견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제강점기 ‘정다산’의 연구와 ‘언론 매체’가 본격적으로 만나는 계기는 바로 1930년대에 일어나는 ‘민족주의적 한국학’인 ‘조선학’ 때문이다. 그 핵심 세력...
-
홍준현2010사회과학연구이 논문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관료였던 다산 정약용이 제시한 행정개혁 방안과 함께 이에 기초를 제공한 그의 행정사상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학자로서 다산은 조선의 국가통치이념인 성리학을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조선후기의 혼란상을 극복하기 위한 개혁방안을 도출하였다. 다산의 행정개혁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행정사상을 먼저 파악하고 이에 바탕을 둔 그의 조선후기 사회상에 대한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