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기호2022哲學硏究이 연구는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악서고존樂書孤存』을 통해 중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양의 고대 ‘악론樂論’을 성찰해보려는 시도이다. 고대로부터 한자와 유교를 공유한 문화권에서는 음악을 단순히 유희의 대상으로 삼지 않고 인간의 내면과 관계되는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그것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공효功效에 주목하였다. 고대인들은 ‘악樂’이 인간의 내면으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
-
서영이2022동방문화와 사상This paper presents an attempt at rethinking Confucianism of Korea “here and now” by analyzing Silhak in late Joseon as it shows a dynamic self...
-
김윤경2022한국 철학논집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sponse and changes of Confucianism in the transition period by examining the trends and change of the i...
-
정성희2019청계사학『頤齋亂藁』는 전북 고창 출신의 실학자 頤齋 黃胤錫(1729~1791)이 쓴 일기자료이다. 18세기 연구 자료로서 『이재난고』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지만, 특히 과학사 연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자료이다. 조선후기 과학사상사의 차원에서 볼 때 『이재난고』의 내용 가운데 천문역산학과 수학 관련 자료는 일차적인 관심거리다. 왜냐하면 당시 많은 지식인들이 서양과학의 우수성을 數學과 實...
-
김성우2019인간은 자연의 理致를 탐구하고 그것을 인간 삶에 활용할 것을 염두에 둔다. 風水地理는 땅을 비롯한 자연의 이치를 밝히는 학문으로서 오래 전부터 진지하게 탐구되고 활용되는 분야이다. 전통 지리학인 풍수지리는 陽宅을 비롯하여 陽基 選定과 景觀 造成 및 墓地 選...
-
최주희2018韓國思想史學17세기 이래 『지봉유설』은 관찬 연대기사료 뿐 아니라 개인의 문집과 유서류, 사찬 역사서의 편찬에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관찬 연대기류나 사찬 역사서의 경우 역사적 사실 관계를 명확히 고증하려는 목적으로 인용한 데 반해, 개인 문집이나 유서류의 경우,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와 같은 예외적인 사례가 있기는 하지만 단편적인 사실을 채록하여 편의에 맞게 인용한 경우가 많다. 『지봉유설』을...
-
해춘력2017한국 기행문 대표작인 『열하일기』와 중국유기산문 대표작인 『서하객유기』를 통해 각 나라의 사회 변동기에 씌여진 두 작가의 여행을 통해서 어떻게 새로운 인식을 발견하고 확장할 수 있게 되었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17·8세기는 동아시아의 문학적 분위기는 실학적 사고와 실천을 중시 여겼으며 문학에 있어 사상혁신을 이룩한 시대였다. 이에『열하일기』와 『서하객유기』는 모두 객관적 관찰의 보고서라는...
-
박재갑2017본 논문을 통해 살펴본 유학의 천인관의 역사적 전개에서 동일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는 ‘相生’이다. 고대 동아시아에서는 무속의 힘을 빌려 하늘과 소통하고, 하늘의 의지대로 현실을 만들어 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사후에 조상들의 품에서 영생한다는 관념이나 조상이나 귀신에게 吉凶禍福을 구해 결정하는 풍습 등은 사상문화의 주류를 차지하였다. 공자는 조상숭배 생사관을 ...
-
송석준2017陽明學도원 류승국의 한국 양명학 연구의 학문적 의의는 무엇보다 사상사적 관점에서 처음으로 한국 양명학의 전체적 흐름에 관한 윤곽을 그려냈다는 점이다. 한국 양명학은 이 땅에 전래한 이후 초기에는 정주학과 갈등을 겪었으나 이후 실학, 천주교, 개화사상과 관련하여 스스로의 역할을 하며 사상사 속에 기여하여 왔다는 것이 도원의 지론이다. 실학사상과 관련하여, 도원은 병자호란 이후 의리학파의 주장이 민족...
-
김혜련2017동서철학연구茶山學에 관한 연구는 남한은 물론 북한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분단 70주년을 넘어선 한민족에게 있어서 민족의 통일은 중대한 문제이며, 민족주의는 철학에 있어서 주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본고는 다산학에 관한 민족주의적 관점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그것이 지니는 현대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는 남과 북의 철학계가 동시에 우리민족의 대표적인 철학자로 추앙하는 다산 정약용의 학문에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