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엄유신2007한글초록 : 본 연구는 조선시대 후기 기생을 전문직 종사자와 패션의 리더라는 현대적 시각에 맞추어 조선후기 전반적 유행을 선도한 기생이 패션리더로서의 유행선도배경과 무엇을 중심으로 유행을 리드하였는지 밝히고 풍속화와 문헌자료를 통해 고찰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조선후기 기생복식의 미적가치와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이르러 대중문화의 코드로 떠오르고 있는 기생을 패션의 리더라...
-
김정진1988本 論文은 嘉禮監儀軌에 수록되어 있는 嘉禮班次圖를 통하여 朝鮮時代 中後期와 西洋文物導入期의 服飾制度와 儀仗制度의 變遷을 알아보는 동시에 儀仗旗와 儀仗物이 갖고 있는 意味나 象徵性을 考察하였고, 國婚으로 擧行되는 王室의 婚禮 過程을 알아본 것이다. 嘉禮 2...
-
이송희1984論文은 開化期의 服飾 形態의 變遷과 그러한 變遷을 招來하게 된 變遷要因에 關한 硏究이다. 우리나라는 1876年 日本과 丙子修好條約을 締結함으로써 開港을 하게 되었으며, 開港·開國과 더불어 傳統社會는 崩壞되고 社會 全般에 걸쳐 改革이 斷行되면서 衣服制度에 ...
-
이봉숙1983本 論文은 朝鮮時代에 많이 着用되었던 답호에 關하여 文獻, 遺物, 繪畵를 통해서 考察한 것이다. 답호는 그 形態가 소매와 선이 없고 길이는 袍와 같으며, 뒷길 중심선과 무양옆에 트임이 있는 옷으로, 唐의 半臂와 漢의 兩當에서 影響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