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은영2021한국무용연구본 연구에서는 『고려사』「악지」, 『악학궤범』, 『정재무도홀기』를 분석하여 각 문헌 별 기록 방식의 상이점과 춤 형상화 과정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고려사』 「악지」는 기술형으로 기록되어 있다. 기술형은 〈연화대〉의 서사를 전달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일 뿐만 아니라 그것의 춤 문화 배경을 ‘설화성’으로 규정하는 포인트가 되고 있다.『고려사』「악지」와 비교해 『악학궤범』은 두 동녀가 1:1 대칭을...
-
김명준2013韓國 詩歌硏究<정읍>은 백제 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궁중과 민간에서 전승되면서 ``정읍``의 의미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본고를 전개하였다. ‘정읍’의 장소적 의미는 전승 과정에서 크게 네 가지로 살필 수 있었다. 첫 번째 형성 단계에서 ‘남:녀=군:신’의 구도를...정읍>
-
이연숙2005한국민족문화This paper examined relevant literature materials on <Dongdong> and applied various critique methods to analyse ritual nature of <Dongdong>. 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