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은영2021한국무용연구본 연구에서는 『고려사』「악지」, 『악학궤범』, 『정재무도홀기』를 분석하여 각 문헌 별 기록 방식의 상이점과 춤 형상화 과정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고려사』 「악지」는 기술형으로 기록되어 있다. 기술형은 〈연화대〉의 서사를 전달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일 뿐만 아니라 그것의 춤 문화 배경을 ‘설화성’으로 규정하는 포인트가 되고 있다.『고려사』「악지」와 비교해 『악학궤범』은 두 동녀가 1:1 대칭을...
-
윤명화2020무용역사기록학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Mu-ui (舞義, ritual of dance) by Seong Gyeong-rin in dance history and its value...
-
윤정민2000본 연구는『의궤』(儀軌)와『정재무도홀기』(呈才舞蹈笏記)에 나타난 정재 사료를 통해「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의 시대에 따른 역사적 변천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의궤』는 국립국악원(國立國樂院)에서『한국음악자료총서』로 영인되어 출판되어진 순조 무자(戊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