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수2016동서철학연구조선의 성리학과 실학의 경계는 양자 간의 뚜렷한 차이점의 유무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그 구분은 일반적으로 경세치용·이용후생·실사구시라는 특징을 통해 나뉘어져 왔다. 이에 반해 이 논문에서는 성리학의 도덕주의가 어떻게 고통을 초래하는 억압의 기제로 작동될 수 있으며, 최한기의 실학사상은 어떻게 이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으로 해석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여 양자의 새로운 경계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
박수진2006韓國學論集이 글은 『校合 樂府』 소재에 전하는 4편의 연작 가사인 《僧歌》라는 작품을 중심으로 등장인물에 드러난 욕망의 표출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번째로, 이 작품의 명칭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작품은 《僧歌》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는 4편의 가사를 포괄하는 명칭으로는 부적합하다고 생각하였다. 그 이유는 불료적 색채가 너무 짙게 묻어나기 때문이었다. 이에 《送女僧答》라는 명칭으로 바...
-
박현숙2005한중인문학연구김삼의당은 전라도 남원 서봉방에서 태어났다. 18세이던 1786년 같은 해 같은 달 같은 날에 태어난 담락당 하욱과 결혼하였고, 55세인 1823년에 사망하였다. 삼의당이 생전에 남긴 작품 중 99편의 시와 19편의 산문이 실린 〈삼의당집〉이 2권 1책으로 1930년에 간행되었다. 삼의당의 일생은 인고와 순종, 그리고 공경으로 요약되어져 유가적 부덕의 실천자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김삼의당의 산문을...
-
한승옥2003한중인문학연구마르크 관점에서 보면 사회 경제적 계급의 차이는 그 어떤 것보다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무정〉을 마르크스적 관점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품에 나오는 인물들의 계급 체계를 분류해 이를 파악해야 한다 여기서는 가계를 통해 이를 파악하였다. 〈무정〉의 중심 가계인 박진사 가계는 몰락한 봉건 양반 지주 계급이며, 김장로 가계는 정치권력을 이용한 신흥 부르주아 계급이다 병욱의 가계는 황주에서 상당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