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부원2020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nature of the Old Trails of Mt. Geumgang from various perspectives, summarize the historical...
-
이산하2017본 연구는 조선시대 선비들의 유산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삼각산의 경관특성과 경관체험의 행태를 고찰했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북한산국립공원의 옛 삼각산 지역이며, 본 연구의 주된 자료는 삼각산 유산기다. 연구를 위해 유산기 총 25편을 수집하였으며 이 중 경관특성과 향유행태를 파악할 수 있는 19편을 선정하여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유산기에 대한 선행연구와 경관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해 경관특...
-
전송열2008열상고전연구<유묘향산록>은 지산 조호익(1545~1609)이 쓴 유산기로 조선조에 들어서 지어진 묘향산에 대한 유산기 중 최초의 본격적인 유산기로 손꼽힌다. 이 유산기는 조선조에 창작된 수많은 유산기들이 거의 천편일률에 가까운 형태를 지니고 있음에 비해 자신만의 독특한 관점에서 ...유묘향산록>
-
김종구2008(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mountain travelling culture through 『Sanjungilgi』(山中日記) by Jeong Shi-han(丁時翰, 1625~17...
-
박영민2004民族文化硏究본고는 조선시대 유산기 데이터베이스의 현황을 보고하고, 이를 토대로 유산기의 시공간적 추이와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과제에서 구축한 유산기 데이터베이스의 총 작품 수는 347편이다. 이 중 금강산 유산기가 작품 전체의 15%에 해당하는 51편이나 된다. 금강산 다음으로 많은 유산기를 남긴 산은 지리산, 가야산, 청량산, 삼각산 순이다. 그러나 금강산, 지리산에 비하면 작품 수가 현저히 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