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승훈2021사회사상과 문화이 글은 우리 사회의 혐오 현상을 분석하고 있다. 혐오를 낳는 사회의 구조적, 문화적 배경을 구체화하고, 혐오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혐오 현상 그 자체에 대한 구체적인 경험 분석을 목표로 하는 것은 아니다. 혐오 현상이 나타나게 된 우리 사회의 구조와 변화의 모습을 이론적으로 접근하는 데 일차적인 목표가 있다. 현대 사회의 혐오 현상의 첫 번째 배경으로 ‘다원화’를 ...
-
이광욱2018본고는 1930년대 한국 신극운동의 전개과정과 담론구조를 분석하여 신극 담당자들이 지향한 목표와 실천 방안의 정당성을 평가하고자 한 연구이다. ‘신극운동의 재출발’이라는 선언과 함께 방법론에 대한 의식적인 자각이 일어났던 1930년대는 창작 및 공연 활동과 더불어 활발한 담론 실천이 병행되었다는 점에서 주목에 값하는 시기였다. 한편, 한국의 신극운동은 검열, 자본, 매체와 같은 요인들이 개입되어 ...
-
심일종2016역사민속학유교전통에서는 사후세계에 대한 말을 삼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오히려 삶과 죽음이 서로 떨어져있지 않고 함께 있다는 인식이 개입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말하자면 사람이 죽은 다음의 세계에 대해 부정한다기보다는 사후존재에 대한 독특한 인식을 바탕으로 후손들의 삶 속에서 용해시키고 있다. 유교에서는 이 사후존재를 ‘조상’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조상을 섬기는 일을 곧 ‘제사’라고 부른다....
-
이은영2011東方漢文學본고는 군왕의 죽음 직후 가장 상세하게 씌어져 추후 입전과 追諡 비지문 등의 저본으로 활용되는 행장을 통해 군왕의 생애가 어떤 방식으로 재구성되고 의미화 되는지를 살폈다. 군왕의 행장은 실록의 사초와 승정원일기 등 공식적 기록 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언술이나 개인기록, 구전되어 오는 말까지를 참고하여 초안이 이루어졌으며 문안과 표현 방식을 두고 많은 논의와 수정을 거쳐 까다롭게 찬술되었다. 현재...
-
정태연2009본 논문은 조선전기 士禍의 소용돌이 속에서 적극적인 정치참여를 통해 道學을 구현하려다 결국 士禍에 희생 된 晦齋李彦迪(1491-1553)의 道學思想에 대한 논문이다. 당시 조선의 학문은 孔ㆍ孟의 학문과 선현들의 이론을 집대성한 朱熹의 학문을 安珦이 수입하여 鄭夢周, 吉再, 金宗直, 趙光祖, 등의 발전기를 거쳐 李滉, 奇大升, 李珥, 成渾의 性理논변 등을 통해 완성기를 맞이하고 이후 여러 학자들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