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근우2018한일관계사연구이 글에서는 먼저 『해동제국기』의 「일본본국지도」가 道安이 가지고 온 지도로 생각되며, 종래의 행기식 지도와 일정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항로의 표시와 항로 상의 중요한 경유지를 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대적인 행기도로부터 중세적인 지도로 변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주 지도는 지명의 표기 양상으로 보아 역시 일본에서 입수한 지도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 중에서도...
-
심보경2007한일관계사연구『海東諸國紀』는 신숙주가 1443년 일본에 서장관으로 방문하여 기록했던 日本國, 九州, 壹岐, 對馬島, 琉球國의 자료를 성종 2년(1471)에 간행한 책으로, 199여개의 지명 자료는 국어사 연구 및 한일 중세어 표기법 연구에 중요하다. 『海東諸國紀』의 일본 지명은 15세기 한국 한자음을 원용하여 漢字借字表記法 중 音借 表記와 訓借 表記로 기록한 것으로, 대부분의 지명은 음차 표기이지만 ‘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