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성운2017소상팔경은 중국에서 발원하였지만 그것의 모티프는 한국으로 수용되면서 시대에 따라 다양한 양식으로 전승되고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에서 발원한‘瀟湘八景’이 한국으로 수용된 이후에 그것이 어떤 전승 과정을 거치며 국문시가 양식으로 변용되었는지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주지하다시피, 중국 소상강의 경치는 예로부터 풍광이 뛰어나 많은 시인묵객들이 그것을 시와 그림의 소재로 삼아왔다. 이 과정에서 그곳의‘...
-
최동안20037본 논문은 조선 후기 직업적인 歌客들에 의해 가창되고 널리 유행한 잡가를 대상으로 개념을 정립하고 문학적 의미를 찾으며 잡가의 樣式 규정 및 문학사적 위상을 밝히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잡가는 그 명칭에 있어서 타 양식과는 달리 혼란을 겪었는데 그 ...
-
박애경2003열상고전연구국문학계에서 잡가 연구는 가장 혼란스러운 분야라 할 수 있다. 연구 성과가 쌓일수록 잡가의 정체성과 존속 시기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기 보다는 이견이 속속 노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잡가는 19세기 중반 이후 도시 유흥의 장에 등장한 순간부터 1920년대 전성기를 맞을 때까지 상당한 수준의 대중적 파급력을 드러낸 바 있다. 뿐만아니라 잡가는 중세 해체기의 문화적 역동성을 자양분으로 하여 자기부상한 ...
-
하희정1987本 論文은 雜歌의 쟝르적 性格을 규명하기 위한 試圖로서 十二雜歌로 論議의 범위를 限定하여 그 特性 및 存在樣相을 考祭한 것이다. 그 내용을 章別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雜歌가 歌唱을 통해 傳承되어 왔다는 점에 비추어 文學的 特性과 더불어 音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