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崔敏浩2017역사민속학조선인의 중국 이주 초기, 연변지역의 전통가옥은 함경북도의 양통집 양식을 그대로 옮겨온 것이었고 주거문화 역시 크게 다를 바가 없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이후 연변지역의 조선족 주거문화는 한반도의 함경북도와 전혀 다른 길을 걷게 된다. 그 변화를 시기별로 크게 나눈다면,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를 첫 단계로,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를 두 번째 단계로, 2000년대 이후...
-
선봉규2016인문사회 21이 연구는 중국조선족, 재일한인, 카자흐스탄 고려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거주국의 주류언어 사용 수준이 어떠한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방법은SPSS Statistic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 분산분석을 실시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류언어의 사용 수준은 중국조선족과 재일한인이 카자흐스탄 고려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
-
선봉규2015동북아연구중국조선족은 현재 이주의 도시화와 글로벌화를 경험하면서 낯선 사회에서 새로운 문화에의 적응이라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특히 조선족 집거지가 집중되어 있는 연변지역은 조선족의 유출과 한족의 유입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면서 새로운 사회관계를 형성해야 하는 등 전통적으로 일궈온 생활양식의 전환을 요구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 연구는 중국조선족의 사회적 지지와 중국 사회 적응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 두 변수 ...
-
안상윤2015평화학연구이 논문은 글로벌시대에 있어서 국가와 민족의 관계를 어떻게 볼 것인가를 중국조선족의 “과계민족”에 대한 특성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과계민족”의 특성 중, “과계민족”은 정치, 경제, 외교, 국제정치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중국 조선족은 중국이 추구하는 소수민족 정책에서의 국가정체성과 한국의 재외동포 정책에서의 민족정체성에 따른 이중정체성의 정치적 역학 속에 있다. 즉, 개혁․ ...
-
서민규2013한민족 디아스포라는 비교적 짧은 이산(離散)의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720만 명이라는 엄청난 숫자와 한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세계 170여개 나라에 분산(分散)된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한민족 디아스포라 중 230만 이라는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
-
이헌홍2012한국민족문화필자는 중국 조선족 이야기꾼 김태락의 구연설화 50편을 녹음으로 채집하고, 그 자료를 문자로 옮겨 출판을 준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김태락이 유능한 이야기꾼임을 알게 되었다. 유능한 이야기꾼이란 그의 설화가 질적으로 우수하고, 양적으로 풍부하며, 이야기 솜씨 또한 남다르다는 뜻이다. 뿐만 아니라 이 자료는 문자 정착과정에서 손질이 가해질 수밖에 없는 기존의 중국 조선족 설화집과는 그 차원이 다른...
-
남근우2012국제정치연구이 글은 북한, 재중동포, 재일동포사회의 준-종족화의 원인과 그에 따른 문화 분절화를 분석한다. 보통 동북아 동포사회는 한민족 혹은 디아스포라로 접근된다. 그러나 동북아 동포사회는 고정적이고 불변적인 한민족 혹은 디아스포라의 특징으로 간주되어 왔던 문화적 요소들을 급격하게 상실해 상호 타자화된 사회로 재구성된지 오래다. 북한은 김일성민족, 재중동포는 중국조선족, 재일동포는 자이니치라는 종족명으로 ...
-
안화선2012평화학연구이 연구는 디아스포라에 관련한 논리의 틀 속에서 디아스포라와 모국, 즉조선족과 한반도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조선족학계 내에서 전개된 조선족 정체성 담론을 분석하고, 한반도와 중국이라는 양 문화체계내에서 조선족은 어떠한 삶을 추구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조선족들은 (중국)국민적 정체성과 종족정체성이 혼재된 이른바 다중적 정체성 특징을 띠고 있...
-
리광평2009在外韓人硏究이 글은 1990년대 초반부터 연변지역 조선족 선배들의 삶을 좇아 현지답사한 결과물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이 글의 목적은 연변지역 조선족 선배들의 구술자료 및 삶의 내력을 담은 사진을 중심으로 ‘한이 서린 이주사’, ‘피땀으로 얼룩진 개척사’, ‘청사에 길이 빛날 투쟁사’ 등을 조명하는 데 있다. 첫째, 간도섬의 현지답사를 통해 19세기 후반부터 간도섬 나루터에 뗏목이 드나들며 부락이 조성되었고...
-
한명환2006한중인문학연구해방이후 중국조선족 소설 중 김용식 역사소재 소설들은 주로 신라, 고려, 조선시대의 한민족 사적 설화들을 한중간 제3의 입장에서 새롭게 재현하였다. 1956년 〈규중비사〉는 언어감각과 묘사, 추리적 구성, 비판적 서술로 대중성과 문학성을 모두 확보한 탁월성을 보여주었다. 이후 〈설랑자〉, 〈무영탑〉 등은, 1959년에서 문화대혁명기에 이르기까지 오랜 시련을 체험한 이후로서 중국내 조선족 작가로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