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현주2019戰國시대 楚나라를 중심으로 하여 중국의 남방 문학을 대표하는 《楚辭》는 북방 문학의 《詩經》과 그 위상이 높으며 후세의 동아시아 고전 문학에 끼친 영향도 광대하다. 본 논문은 屈原을 중심축으로 하는 《초사》가 조선시대 漢文四大家로 알려진 ‘月象谿澤’의 문학 속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네 사람의 굴원 수용 양상을 조망하고자 한다. 本文從《楚辭》對韓國古典文學的影響入手,考察了...
-
강영주2017In Joseon Dynasty, the orchid served as a theme for poetry and paintings practiced and appreciated by people of various social classes ranging ...
-
가첩2017현재 초사학계에서는 일본과 서양의 楚辭 문헌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한국의 초사 문헌에 대해서는 아직도 미비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한국의 초사 문헌에 대해 전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필자는 학계에서 처음으로 한국의 초사 문헌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전반적으로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필자가 수집 한국의 초사 문헌은 모두 148종이다. 그 중에 초사의 중국 간인...
-
신두환2010漢文學論集이 논문은 조선 사인들의 초사수용에 대한 양상과 그 미의식을 살펴보기 위한 논문이다. 초사는 삼국시기부터 우리 문학에 간헐적으로 인용되기 시작했으며, 고려시기에는 이규보를 비롯한 많은 문인들에게서 초사의 수용과 변용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조선 문사들의 초사수용의 양상은 정치적 혼란기에 더욱 많이 나타나고 치열한 당파 싸움의 결과 비방과 축출이 난무하던 시기에 더욱 성행하였다. 조선 선비들의 유배시...
-
김철웅2001禮는 吉凶·軍·賓·嘉禮 등의 五禮로 구분되는데, 그 중에서 祭禮인 吉禮가 가장 중요하게 여겨졌다. 인간에게 神異함을 보여주거나 보답을 주는 존재는 모두 神으로 간주되는데, 이러한 대상은 祀典에 실려 국가 제사가 이루어졌다. 고려시대의 禮制는 『高麗史』禮志를 통해 그 실상을 알 수 있다. 『高麗史』禮志는 『詳定古今禮』의 내용과 구조를 따른 것이며, 고려 당대에 왕실의 정치적 권위를 수식하고 정치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