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희진2016인문사회 21본 연구는 최명희의 『혼불』과 박경리의 『토지』에서 드러나는 풍속이 소설 속에서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Ⅱ장은 『혼불』과 『토지』에서 드러나는 민속신앙이 각 작품에서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민속신앙은 민간인들의 종교의식이 집약된 것으로 우리민족의 정신 속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는 종교현상이라 볼 수 있다. 『혼불』에는 달에게 소원을 비는 장...
-
엄숙희2015어문연구『혼불』은 형식면에서 일반적인 인식을 깨고, 내용면에서도 일상성을 파괴한 균열의 문제에 주목함으로써 균열의 서사를 만들어낸다. 『혼불』에서는 응집력이 약화된 사회에서 담론의 균열이 발생하고, 그 균열들이 확장되면서 사회의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모습이 목격된다. 또한 『혼불』은 이런 체제를 위협하는 균열의 움직임이 지난 역사 속에서도 끊임없이 있어왔고, 그 균열은 또 끊임없이 봉합당해 왔다는 것을 ...
-
최윤경2012본 논문은 󰡔혼불󰡕에서 지배담론으로서의 가부장 신화의 허구성을 밝히고 그러한 가부장 신화의 균열적 측면을 사회적 증상으로 읽어낸다. 그리하여 ‘뒤틀린 현실의 담지체’로서 소설 󰡔혼불󰡕에서, 섣부른 화해를 제시하지 않는 서사가 소급적으로 구성되고 있음을 밝힌다. 󰡔혼불󰡕은...
-
고운이2004본 연구는 『혼불』의 원형 이미지 연구를 통해 작품의 상징체계를 파악하는 동시에, 이미지의 변모로 진행되는 서사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서정성을 증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혼불』은 한국적 정신과 문화에 대한 탐구와 현현이 두드러지는 작품이며 이야기와 ...
-
이현하2001소설은 다른 어떤 장르보다도 더 깊이 사회현실과 역동적인 관계를 갖고 있음에 중점을 둘 때 최명희의 『혼불』은 그러한 양상을 살펴보기에 적절하다. 왜냐하면 『혼불』은 일제강점기의 복잡다단한 시기를 배경으로 양반과 상민, 천민 개개인과 가족의 삶을 세밀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