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선
    2020
    이 논문은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에 발표된 남북한SF의 주요 텍스트들을 분석함으로써 한반도에서 SF가 본격적으로 창작되었던 조건을 비롯하여 남북한 초창기 SF의 내용과 형식을 검토하였다. 한반도에 SF가 수입된 것은 1900년대 초였으나, 한국어로 창작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말부터였다. 이는 남북한의 문학이 동시적으로 하나의 장르를 구축한 매우 희소한 사례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 김시연
    2020
    한국고전연구
    Kim Sam Bul is one of the scholars who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Joseon Literature’ in modern literature through the educational programs ...
  • 채우진
    2019
    비유는 일상생활이나 대중매체 혹은 문학작품에서 말이나 글의 표현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흔히 사용되는 수사적 방식 중 하나이다. 우리가 평소에 다른 사람과 일상대화를 할 때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수많은 비유적 표현이 그 중에 숨겨 있는 것이다. 그런데 비유 표현은 단순히 수사적인 도구가 아니라 인지적 개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이루어진 비유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비유는 사고의...
  • 곽동범
    2017
    본고는 유교의 열(烈) 이데올로기를 표면에 내세운 ��춘향전��에서 烈이 민중에 의해 어떻게 변형·전용(轉用)되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억압의 기제인 이데올로기가 권위주의와 교조성을 탈피했을 때 ‘인간의 삶을 가치 있게 한다’라는 사상으로서의 보편적 가치를 회복함을 밝히고, 더 나아가서 문학작품에 구현된 이데올로기에 대해서 어떤 측면을 수용하고 어떤 ...
  • 한정정
    2016
    □ 국문요지 〈춘향전〉과 〈西廂記〉는 한국과 중국의 문학사에서, 근대 이전에 형성되어 당대에 많은 인기를 누렸고, 오늘날까지 많은 사랑을 받으며 다채롭게 변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주제는 물론 구성과 유행 시기가 비슷하여 영향 관계, 비교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두 작품이 특히 많은 사랑을 받으며 두 나라의 대표적인 사랑 문학으로 위상을 굳힌 이유는 사랑의 본질과 가치를 형상화했기...
  • 박선란
    2016
    본 연구는 낙선재본 소설 『징세비태록』의 내외적 접근을 통해 작품의 문학적 가치를 밝히고 독자와 소설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문학은 시대를 영위한 사람들의 무의식이 만들어낸 산물이기 때문에 작가·독자·시대를 완전히 배제하고 창작되기는 힘들다. 『징세비태록』은 19세기 초·중반에 창작된 소설로 급변하는 조선 사회와 독자 의식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따라서 『징세비태록』...
  • 이량
    2016
    본 논문은 한국 한문학 속에 수용된 설도(薛濤)의 형상을 검토하여 그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도는 중국 당나라 시대에 널리 이름을알린 여성 시인으로 그녀는 중국역사상 재능이 풍부했던, 여성 시인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설도는 당시 여성 시인의 대표로서 용모와 자배가 아름다웠을 뿐만 아니라 재능과 지혜가 있었고 음률에 정통했으며 다재다능하여 한 시대를 풍미...
  • 한동
    2016
    袁枚(1716∼1797)는 청대 性靈派의 거두로서 청대 시단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시단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본고는 조선 후기 문인들이 원매의 시론을 수용하는 배경과 양상 그리고 문학사적 의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조선 후기 문인들이 원매를 수...
  • 유재형
    2016
    본 논문은 담헌(湛軒) 홍대용(洪大容, 1731~1783)을 대상으로, 그가 연행에서 돌아온 직후 동문 선배인 본암(本庵) 김종후(金鐘厚, 1721~1780)와 벌였던 제일등인 논쟁(第一等人 論爭)의 전모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연행 직후 담헌의 행적에 대한 연구는 조청 지식인 교류의 측면을 제외하면 미진하다는 점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홍대용의 문집인 『담헌서(湛軒書)』만을 보던 기존 연...
  • 김정란
    2016
    본 연구는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근대주체의 한 양상을 주체의 정념적 특성으로 고찰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박태원은 1930년 10월에 단편「수염」으로 조선 문단에 데뷔한 이래 우리 문학사의 대표적 스타일리스트이자 모더니스트로 알려져 온 작가이다. 1988년 해금조치 후 월북작가 박태원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박태원이라는 작가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은 그가 뚜렷한 족적을 남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