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선2020이 논문은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에 발표된 남북한SF의 주요 텍스트들을 분석함으로써 한반도에서 SF가 본격적으로 창작되었던 조건을 비롯하여 남북한 초창기 SF의 내용과 형식을 검토하였다. 한반도에 SF가 수입된 것은 1900년대 초였으나, 한국어로 창작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말부터였다. 이는 남북한의 문학이 동시적으로 하나의 장르를 구축한 매우 희소한 사례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
노춘기2019우리文學硏究이호우의 시조는 전통적 규범과 현대적 리얼리티의 갈등을 종합하여 새로운 시형식뿐만 아니라 그에 부합하는 가열한 시정신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은 그 시정신의 요체가 정치성과 탈정치성을 통합하는 그 견인정신에 있다고 보고 그 실체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1950년대와 1960년대를 비교하여 살피되, 이호우의 작품 세계에 일관되는 한 흐름으로써 정치적 정체성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호우의 현실 인식...
-
이인호2019This study looked at how different South and North Korean music policies were understood and how music, a characteristic of the cultural system...
-
이경희2019아시아문화연구This paper reframes the Japanese modernization theory in the 1960s as the beginning of the estrangement between postwar modern values and democ...
-
반재영2017이 연구는 1960년대 한국 민족주의에 대한 최인훈 소설의 담론적 대응 양상을 『회색의 의자』, 『서유기』, 『총독의 소리』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아울러 그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최인훈 소설의 저변에 깔린 탈식민적 문제의식을 명료화하고자 시도했다. 1960년대 최인훈의 소설과 동시대의 저항적 민족주의는 ‘후기 식민성의 극복’이라는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최인훈의 소...
-
안수민2017현대문학의 연구1945년 `해방`은 제각기 다른 이유로 제국 전역에 흩어져 있었던 사람들을 대규모로 이동시켰다. 귀환은 사람들로 하여금 물리적·정신적 감각의 급진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과정이었고, 또한 많은 이들이 공유했던 집단 경험이었다. 대개 해방 직후 한반도에서 쓰인 귀환서사는 유랑자로서 겪은 고달픈 여정을 바탕으로, 이후 새로운 국민국가에 소속됨으로써 얻을 수 있을 정신적 물리적 안정감을, 그리고 그것에 ...
-
마상윤2016韓國 政治 硏究본 논문은 1960년대의 〈사상계〉를 중심으로 당시 현실정치의 맥락하에서 지식인들이 자유민주주의를 어떻게 관념하였는지를 살핀다. 냉전과 남북대결이라는 구조 아래에서도 〈사상계〉를 중심으로 일단의 지식인들이 자유민주주의의 실현을 꿈꾸고 설계했다. 〈사상계〉 지식인들은 민주주의의 보편성을 인식하면서, 따라서 그것이 우리 민족의 새로운 진로이자 중요한 정체성의 요소가 되어야 했고, 또한 이를 통해서만 ...
-
김지영2014한민족문화연구만화, 소설, 청소년 드라마 등 다양한 매체 사이에서 유쾌하고 건전한 내용을 다루는 장르 코드로 활용되고 있는 어휘 ‘명랑’은 한국, 일본 등지에서만 사용되는 독특한 의미장을 지닌 개념이다. ‘명랑’은 또한 일제강점기 총독부의 군국주의적 총동원 체제가 표방하는 체제 선전의 슬로건이자, 1960년대 군사정권이 국가주의적 규율담론을 습속화하기 위해 실시한 사회 운동의 기표이기도 했다. 한국 역사에서 ...
-
함충범2014한일관계사연구본 연구는 1960년대 한국에서의 시대적 상황과 영상 매체의 문화적 지형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김기영 감독의 〈현해탄은 알고 있다〉(1961)의 제작 배경 및 원작과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동명의 라디오 방송극을 원작으로 하는 이 영화는 4.19혁명(1960)이후 배일, 반일 감정의 완화와 일본풍의 유행이라는 문화적 흐름 속에 기획되어 5.16군사정변(1961)직후라는 정치적 전환기에 ...
-
박영구2013한국과 국제정치본 고는 1965∼1966년 한국철강공업을 둘러싼 한국과 일본의 전략을 구체적으로 검토 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몇 가지 주요하고 새로운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1960년대 중반 미국과 일본은 한국의 철강시장 주도권을 두고 대안 경쟁관계에 있었으며, 한국은 이를 유도하는 전략을 시행하여 성과를 거두었다. 둘째, 1960년대 일본의 주요전략은 한국시장에의 참여보다 주도권 확보였으며 이는 일관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