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고려에 머물러 있는 동정군들을 감독하여 데리고 가다.
    원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고려에 머물러 있는 동정군들을 감독하여 데리고 갔다.
  • 원나라에서 고려에서 일본으로 통하는 지름길이 있다고 말한 검공 고내를 파견하다.
    원나라에서 사신과 함께 검공(劒工) 고내(古內)를 파견하였다. 고내가 원나라에 있을 때 고려에서 일본으로 통하는 지름길이 있다고 말하였으므로 그를 파견한 것이었다.
  • 김광원을 경상도에 파견하여 도지휘사로 임명하고 전함을 수리, 건조하다.
    …… 원나라에서 장차 일본을 다시 정벌하려 하였으므로 김광원(金光遠)을 경상도에 파견하여 도지휘사로 임명하고 전함을 수리, 건조하였다.
  • 원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병기를 제작하라고 명하다.
    원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병기를 제작하라고 하였으므로 기거랑(起居郞)기거랑(起居郞)고려 문종 때 문하부(門下部)에 종5품 1명을 두었는데, 1356년(공민왕 5) 정5품으로 승격시켰다. 궁중에서 임금의 일상생활,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 등을 기록하는 일을 맡았...
  • 통역을 원나라에 파견하여 일본의 밤을 바치게 하다.
    통역을 원나라에 파견하여 일본의 밤[栗]을 바치게 하였다. 처음에 조양필(趙良弼)이 일본 밤을 얻어 그것을 의아현(義安縣)에다 심었었는데 이때에 이르러 열매를 맺었던 것이다.
  • 장순룡을 원나라에 파견하여 활단적들의 식량, 사료는 경략사에서 공급하여 주도록 청하다.
    장순룡(張舜龍)을 원나라에 파견하여 중서성에 글을 보내기를, “이번에 중서성의 공문을 받았는데 ‘추밀원에서 황제의 명령을 받아 홍다구(洪茶丘)를 고려로 보내 흔도(忻都)와 함께 할 일은 일본을 정벌하러 갔다가 집으로 돌아온 군사 3천 명을 관찰하는 ...
  • 동정원수부에서 성의 명령을 받고 전함 9백척을 만들라고 통고하여 오다.
    노영(盧英)이 의원 두 명과 함께 원나라에서 돌아왔다. 동정원수부(東征元師府)에서 성(渻)의 명령을 받고 전함 9백척을 만들라고 통고하여 왔다.
  • 승지 조인규, 인후를 원나라에 파견하여 전함들을 수리 또는 건조하였다는 것을 보고하다.
    승지 조인규(趙仁規), 인후(印侯)를 원나라에 파견하여 전함들을 수리 또는 건조하였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 장군 정인경을 원나라에 보내 원수 홍다구가 우리와 사이가 나쁘다고 아뢰다.
    밀직부사(密直副使)밀직부사(密直副使)고려시대 밀직사(密直司)의 관직으로 1275년(충렬왕 1) 추밀부사(樞密副使)를 고친 이름이다. 처음에는 종이품의 부사 4명을 두었다가 1311년(충선왕 3)에 부사의 품계를 정삼품으로 낮추어 고려 말까지 이어졌다. 이존...
  • 초공 등 4명이 우리나라에서 보낸 사신과 서찬 등은 모두 살해당하였다고 보고하다.
    …… 이달에 객관(客館)을 건축하였다. 초공(稍工) 상좌(上左), 인해(引海) 일충(一沖) 등 4명이 일본에서 탈주하여 와서 말하기를, “지원 12년에 황제가 일본으로 사신을 보내었을 때 우리나라에서는 통역관 낭장 서찬(徐贊) 및 초공 수수(水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