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소영2017고고 유물의 화학적 분석은 유물과 유적지 현장의 고고학 정보에 대한 과학적 증거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유물이나 생물 시료에 잔존하는 생체분자는 당시 환경과 생활상 연구를 위해 매우 중요한 화학적 단서이다. 토기에 남아있는 유기 잔존물은 다...
-
김수훈2016문화재본 연구는 아산 명암리 유적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전기 인골에 대한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당시의 식생활양상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21기의 회곽묘에서 출토된 25개체 인골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결과, 탄소 안정동위원소 값은평균 -19.7±0.5‰(n=23), 질소 안정동위원소 값은 평균 9.6±1.1‰(n=23)로 나타났다.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값을 통해 아산명암리 피장...
-
안효진2015근대기 이후 급격하게 변화한 한국인의 식생활 변화를 고찰하기 위하여 근대 신문의 식품 광고를 분석도구로 하여 변화 추이를 관측하였다. 관측기간은 독립신문 창간해인 1896년을 시작으로 하여 1995년까지 총 100년의 기간이었으며 관측된 신문은 「독립신문...
-
김지연2010시루(甑)는 증기를 사용하여 식품을 쪄서 익히는 조리도구로 청동기 후기부터 현재까지 그 형태와 이용방식에 큰 변화 없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토기이다. 시루가 단순히 떡을 만드는 용도로 알려져 있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에서 시루는 가...
-
정혜경1988본 연구는 현재 우리사회에 만연된 영양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한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해방 이후 고도의 경제 성장을 이루면서 식생활분야도 급격한 변천을 겪게 되었다. 고도의 경제 성장은 풍요롭고 다양한 식생활을 만들어 냈으나, 그 이면에는 ...
-
김희선1987本 硏究는 우리의 食生活 傳統이 確立된 時期로 指摘되고있는 朝鮮後期의 食生活을 문제삼아, 그 時期의 食生活 樣相의 變貌를 社會·經濟的 變動과의 關聯속에서 糾明함으로써 현재 食生活을 遠因的으로 파악하는 資料로 삼고자 시도되었다. 本 硏究는 文獻硏究에 依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