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미경2015美學중국철학에서 유학적 도덕가치는 공동체 질서 유지를 위한 실천적 지평 위에서 작동되었다. 예술창작의 주체는 이러한 유학적 도덕 가치를 학습한 문인들로 이를 예술작품에 담아내었다. 이는 문학예술상에서 언지설(言志說)의 입장을 가지며 지속되다가 정감의 발현이라는 측면에서 의경설(意境說)과 만나게 된다. 의경은 종래 자연경물을 통한 창작주체의 정감과 연계되어 논의되었지만, 인간과 사회의 실정에서도 정감이...
-
서은경2011본고의 목적은 1910년대 일본에서 발간된 유학생 잡지를 통해 식민지 조선에서 근대적인 문학관의 발생과 근대소설의 전개과정을 탐색함이다. 한국 근대문학사의 오랜 화두 중 하나는 일본을 통해 우리의 근대문학이 성립되었다는 질곡이다. 근대문학의 생성에 있어 서구의 문학을 도달태로 놓고 일본을 거친 서구 문학의 일방적 수용으로 우리의 근대문학이 전개되었다고 보는 입장은 자생적 문학사를 부인할 수밖에 없...
-
이홍식2010동아시아 문화연구조선시대 대외 인식의 주요 창구로 연행과 통신사행과 표류를 지목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오랫동안 활발하게 진행되어 양국에 깊은 영향을 끼친 것은 바로 연행이다. 현재 이 연행의 기록이 연행록이란 이름으로 남아 전하는데, 최근 한·중·일 학자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주로 교류사의 측면에서 연행록을 살펴보았다. 특히 북경 유리창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조청 문사들...
-
이영경2004한국민족문화In this theses, we elucidate the ethical problems of emotion in Yulgok's mind theory. We analysis good & bad of emotion in relation with the pr...
-
채미화2004퇴계학과 유교문화본 논문은 17세기 조선문학의 일단을 대표한 허균의 미학사상의 특색으로 되고 있는 정감미학론의 내용체계 즉 정감의 본체화 의의와 정감의 심미적 경지 및 정감의 심미적 품격에 대한 탐구이다. 문학의 정감적 특성에 대해 고려시기의 시인들은 정감을 문학창작의 가장 기본적인 동기로 인식하였다. 고려말 이후 성리학이 수용되면서 허균 이전까지는 성리학적 사유체계 속에서 '성정(性情)'을 논하였다. 허균의...
-
채미화2004退溪學과 韓國文化본 논문은 17세기 조선문학의 일단을 대표한 허균의 미학사상의 특색으로 되고 있는 정감미학론의 내용체계 즉 정감의 본체화 의의와 정감의 심미적 경지 및 정감의 심미적 품격에 대한 탐구이다. 문학의 정감적 특성에 대해 고려시기의 시인들은 정감을 문학창작의 가장 기본적인 동기로 인식하였다. 고려말 이후 성리학이 수용되면서 허균 이전까지는 성리학적 사유체계 속에서 '성정(性情)'을 논하였다. 허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