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은주2022한국고지도연구In this article, we discussed the formation of historical attractions in Pyongyang. Pyongyang was a place where envoys stayed because it was lo...
-
이무용2015한국지역지리학회지본 연구는 광주 예술의 거리에서 살아온 생활주체들의 경험의 관점에서 거리의 형성 과정과 장소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예술의 거리의 지리적 특성과 공간 변화, 광주 예술계의 흐름과 경제?정치적 상황을 검토함으로써, 예술의 거리가 ...
-
장정수2013韓國 詩歌硏究이 논문은 19세기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나는 금강산의 장소성(placeness)을 고찰 하였다. 현전하는 금강산 기행가사는 대부분 19세기에 창작되었는데, 그중 처사(處士)작으로 밝혀진 일군의 작품에는 여행 체험의 구체적 서술, 설화·고사·유적·유물 등에...
-
정인숙2013韓國 詩歌硏究본고는 조선후기 시가를 대상으로 서울의 ‘장소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고에서는 시적 화자가 서울 안에서 바라보는가 서울 밖에서 바라보는가 또는 서울인으로 바라보는가 외부인으로 바라보는가 하는, 서울을 바라보는 시적 화자의 입장과 거리를 고...
-
정인숙2013韓國 詩歌硏究본고는 조선후기 시가를 대상으로 서울의 ‘장소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고에서는 시적 화자가 서울 안에서 바라보는가 서울 밖에서 바라보는가 또는 서울인으로 바라보는가 외부인으로 바라보는가 하는, 서울을 바라보는 시적 화자의 입장과 거리를 고려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서울 안에서 바라본 서울의 장소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서울은 왕도로서의 상징적 공간으로 의미화 된다. 이는 ...
-
장정수2013韓國 詩歌硏究이 논문은 19세기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나는 금강산의 장소성(placeness)을 고찰 하였다. 현전하는 금강산 기행가사는 대부분 19세기에 창작되었는데, 그중 처사(處士)작으로 밝혀진 일군의 작품에는 여행 체험의 구체적 서술, 설화·고사·유적·유물 등에 대한 관심, 금강산 지형에 대한 풍수적 해설이 공통적 요소로 등장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공통 요소를 통해 19세기 처사들은 금강산을 어...
-
김종진2012한민족문화연구본고는 연행록과 연행가사 등의 기행문학이 단순한 개인적 체험을 담은 것이 아니라 조선중기 이후 각 도시의 로컬리티가 대타적으로 형성되는 과정이 담겨있는 소중한 자료라는 전제하에 지역성 탐색의 일환으로 이들 기록에 담겨있는 각 도시의 상호 비교담론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연행의 국내 노정은 한양-개성-황주-평양-안주-정주-선천-의주인데, 여러 연행록과 연행가사에는 이들 도시의 규모, 인상...
-
전종한2009대한지리학회지피맛길은 서울 종로의 이면 도로로서 조선전기에 기원한 600여 년의 역사를 가진 골목길이다. 이 연구는 피맛길을 중심축으로 발달한 피맛골을 현대 도시의 대표적인 ‘뒷골목’중 하나로 정의한 다음, 이곳의 역사지리를 통해 그 기원과 경관을 추적하고 장소 기억...
-
고범석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