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병기2015다산학이 글은 다산 정약용의 역상학易象學을 중심에 놓고 그 해석방법론의 학파적 연원을 탐구한 논문이다. 정약용의 역리사법(推移, 物象, 互體, 爻變)은 정약용만의 독특한 해석방법론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하나의 사상체계가 갑작스럽게 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조…
-
황현이2014泰東古典硏究현전하는 『곽우록』의 판본은 총 4종으로 단대본, 국중본, 장서각본, 문광본 등이다. 이 가운데 널리 유 통되는 판본은 국중본과 문광본인데 이들에는 많은 오류가 발견된다. 국역본 또한 문광본을 저본으로 했 기 때문에 오류가 다수 있다. 4종 판본은 단대본 계열…
-
조지형2014누리와 말씀본고는 공백당(拱白堂) 황덕일(黃德壹)의 저술 <삼가략(三家略)>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의 서학 인식의 형성 과정과 그에 대한 비판과 대응 양상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황덕일은 동생 하려(下廬) 황덕길(黃德吉)과 더불어 안정복(安鼎福)의 학문과 사상을 전수한 수제자…삼가략(三家略)>
-
김명환2013泰東古典硏究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서경질서』는 몇 가지 필사본이 있는데, 그 중 동양문고 소장본(이하 동양문고본) 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한국학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여강출판사본 『성호전서』에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동양문고본은 또한 성균…
-
임미정2013다산학이 논문은 지금까지 조명되지 않았던 다산 정약용의 조선 속담집 채파유의를 소개하고, 그의 또 다른 속담집인 이담속찬과의 관계를 살펴, 다산의 속담 수집·정리과정을 알아본 것이다. 채파유의는 조선의 속담을 한문으로 번역하면서 운韻을 맞추어 놓았는데, 820장이…
-
신항수2013泰東古典硏究전질 형태로 남아 있는 이익의 문집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필사본인 ‘이병휴본’과 밀양 퇴로리 및 사포리에서 각각 발행된 ‘퇴로본’ 및 ‘사포본’이 대표적이다. 세 본은 각각 일부 내용의 출입이 있으며, 편집면에서도 차이가 나타난다. 잡저를 중심으로 볼 때 ‘…
-
김새미오2013泰東古典硏究본고는 7종의『논어질서』를 중심으로 그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현재 성호 이익의 『논어질서』는 성호기념관에 2종, 국립중앙도서관에 2종(『성호질서』, 『칠경질서』), 한국국학진흥원에 2종(화경당본, 학사종택본),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1종이 확인된다. 이 …
-
원재린2010泰東古典硏究조선후기 실학은 실정(實政)을 통해 중세국가체제의 모순을 극복하려했던 개혁사상이었다. 실학자들 중에서도 성호(星湖) 이익(李瀷, 1681~1763)은 18세기 전반기 환국(換局)과 무신란(戊申亂, 1728)을 거치면서 공멸의 위기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조성된 탕…
-
박문열2009우암논총
-
박경우2008열상고전연구본 연구는 처용가와 처용 관련 배경설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진위 분별의 차원이 아니라 담론의 차원으로 이해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대개의 연구자들이 三國遺事의 처용 관련 기사를 토대로 처용의 성격을 단선적으로 규명하려 했지만, 문집에 나타난 처용의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