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영주2022時調學論叢
-
강경하2022일어일문학This study examines how female travelers' experience, communication, and writing were appreciated, by focusing on travel essays in Korea and Japa…
-
황수정2021동아인문학본고는 고려시대 제화시의 소통 양상과 향유 문화 특성을 연구한 것이다. 제화시는 그림을 재현하는 데만 머물지 않는다. 제화시는 시의 장점을 발휘하여 그림의 표현력을 증대시키거나, 독자적인 미감을 발휘한다. 즉 사람들 간의 미적 소통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제화시를 단순한 개인의 시 창작으로만 보지 않고 소통과 향유 문화의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우선 고려시대 제화시 소통…
-
최기숙2021동방학지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서사문학의 발화동사 ‘왈’의 역동적 변화에 주목해, 소설 향유층이 공유한 ‘말하기’를 둘러싼 사유와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의 실제를 해명했다. 연구 대상으로 고려시대부터 19세기 초까지 총 4,550개의 발화표지(‘없음’ 포함)에 대해 ‘말하기’를 둘러싼 ‘어휘군’, ‘어휘장’의 개념으로 접근하여, 통계적ㆍ수사적 차원에서 분석했다. 〈삼국유사〉에 서술된 발화동사는 ‘曰’(84%),…
-
김인수2018본 연구자는 최초 ‘미술, 그것으로부터.’라는 문제를 바탕으로 모든 과정은 자기존재를 드러내고 나타내기 위한 현상으로부터 출발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출발 또한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외부적 자극과 감각으로 인지되는 현상들의 움직임에 대한 감성적 변화를 연구하고자 함이었다. 인류가 존재한 유사 이래 미술적 행위는 끊임없이 지속되어 왔다. 우리는 그 역사적 사실 속에 미술적 의미와 인간의 관계…
-
장문현2016국토지리학회지최근 감성에 대한 관심과 활용성에 대한 논의가 여러 분야에서 대두되고 있다. 감성의 발현은 지리적 환경의 차이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건과 문화적 성향에 따라 상이한 공간상의 축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공공 및 사회적 커뮤니티 공간등의 영역들이 어떠한 감성메커니즘…
-
권명숙2013오늘날 우리가 가을의 정서로 슬픔을 떠올리는 것은 오랜 세월 동안 문화 관습적으로 길들여진 결과이다. 가을 정경인 秋와 인간의 슬픔인 悲가 융화하여 이루어진 悲秋는 중국 고전 문학사에서 유구한 전통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가을 감성을 분석하여 悲秋의 문화 사회적 배경을 검토하고, 悲秋가 어떠한 역사적 맥락 하에서 형성되고 발전하여 보편적인 사회적 감성으로 안착하게 되었는가의 과정을…
-
손계영2011古文書硏究詩箋紙란 조선시대 이전부터 문인을 포함한 상류층 인물들이 주변 지인들과 편지ㆍ詩를 주고받는 때 사용하였던 문양이 있는 종이인데, 이 글에서는 ‘시전지’라는 실물을 통해 조선시대 사람들, 특히 시전지를 사용하였던 문인들의 감성 표현, 시전문화의 변화와 그 변화로 인한 양반층에서의 시전지 사용의 확산 현상에 주목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개인 또는 집안에서 갖고 있던 시전판을 종이에 찍어 시전지를 만들었다. …
-
조문주2010본 연구는 於于 柳夢寅(1559~1632)의 산문에 대한 연구이다. 유몽인은 산문에서 독자적인 글쓰기를 주장하였고, 실재 창작으로 까지 연결하여 자유로운 글쓰기를 완성한 문인이다. 특히 그의 산문은 문체의 형식을 뛰어넘으며 다양한 문학적 수법으로 창작 되었다.…
-
주영중2009국문초록 조지훈과 김춘수의 시론 연구 -시론 형성의 문학사적 맥락을 중심으로 주영중 국어국문학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이 글은 1950년대 발간된 두 권의 시론집, 조지훈의 ꡔ시의 원리ꡕ와 김춘수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