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혜영2019축제는 문화적 정체성과 지역 문화자원에 기초한 체험지향적 이벤트로 개최지역의 경제적 편익, 사회문화적 성장 및 관광 사업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하는 주요한 관광 자산이다. 또한 축제는 방문객에게 일상에서 경험 할 수 없는 여가적․사회문화적 차원의 체험을 제공하는 지역의 대표적인 관광 상품으로 이해되고 있다. 따라서 축제에서의 체험은 축제의 본질이자 축제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국내…
-
송나영2019지역 간 국제관광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지방도시 차원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국제관광협력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부산시와 일본의 쓰시마시, 시모노세키시, 후쿠오카시, 시즈오카시 등 한일 지방도시도 국제관광협력의 일환으로 2001년부터 조선통신사축제 문화교류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그러나 장기간의 교류활동에도 불구하고 협력사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저조하며 협력관계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는 …
-
신근영2019공연문화연구There are many festivals in the region that mainly us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raditional performing arts has a story that incorporates the…
-
야스모토아츠코2018관광정책에 있어서 국제관광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제협력은 국가 간 협력은 물론 다양한 비국가 행위자간 협력으로 발전하였으며, 관광분야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일 국제관광협력도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협력을 통한 국제관광협력산출의 내용적 측면에서 다양성과 실효성의 한계, 또한 행위자의 다원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관계이…
-
정현숙2017고궁은 국내·외 관광객이 즐겨 찾는 관광지이며 소중한 문화유산지다. 2016년 고궁 관람객이 1,000만명을 돌파했다. 이와 같이 나날이 증가하는 관람객들의 문화유산에 대한 지적 욕구에 부응하고 관람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고궁문화관광해설사의 질적 향상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궁에서 근무하는 궁 전문 문화관광해설사 제도 및 교육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
이지훈2017본고는 근대 초기 여행이 유학, 시찰, 관광, 순례 등 새로운 경험으로 다양하게 확대되는 양상을 중심으로, 여행을 통한 공간 인식과 재현 형식이 당대 글쓰기 및 서사 양식에 미친 영향을 밝히고, 여행기와 소설 등을 포함하는 여행서사에서 공간, 주체, 타자가 재현되는 양상 및 그 의미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행은 공간적이고 문화적이며, 담론적인 동시에 정치적인 경계를 뛰어넘는 행위이고, 경계…
-
진보라2016문화관광해설사제도는 정책이 제도화된 대표적 사례이다. 정책이 제도화되면 제도적 속성으로 인해 합리성이 아니라 역사성으로 진행된다. 문화관광해설사제도는 다른 정책변화과정과 달리 메가 이벤트라는 계기로 도입되고 법제화 되는 과정을 거치며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제도변화를 역사적 제도주의에서는 경로의존성으로 설명한다. 본 연구는 문화관광해설사정책이 어떻게 제도화되었는지 밝히고 문화관광해설제도의 바람직한 개…
-
송재민2015Korean medicine has been the wisdom of the east and our national asset throughout thousands of years of our history. Its ideological background r…
-
목수현2014동아시아 문화연구근대기 외국인들의 눈에 한국의 대표 이미지로 보였던 숭례문, 경회루, 황궁우는 조선시대에서 대한제국기에 이르기까지 도성 문, 궁궐의 누각, 원구단의 주요 건물로 세워진 것이다. 그러나 개항과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그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 숭례문은 한양 도성의 대표적인 문으로, 외국인들에게 한양의 표상에서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꼽혔으며, 수많은 기행문에 기록되거나 사진이 수록되었다. …
-
이진우2009문화거리 사업 비롯한 다양한 거리 또는 가로 정비 사업은 지방자치단체로 세분화 되면서 각 지역마다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고, 사업 자체는 양적으로는 성장 하였으나 질적으로는 서울시의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거리조성 사업 자체가 무색할 정도로 기능성, 심미성, 내구성 등이 낙후되어있어서 거리의 특징을 살리지 못하고 조성사업이 잘 된 곳을 따라하게 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거리의 유형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