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현식2020우리말 글어문민족주의는 개화기에 우리 말글에 대한 자주의식과 나라의 자주독립운동에서 본격적으로 촉발되었다. 주시경의 정신을 이은 조선어학회가 어문민족주의 운동의 중심에서 어문규범 정비와 사전 편찬의 대업을 이루었다. 그러나 1930년대에는 실용적 학문에 대한 반발로 언어자료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추구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어문민족주의는 분단 후 남북한에서 체제의 차이로 달리 전개되었다. 북한에서는 한글전용…
-
윌슨2019인권법평론이 논문은 한국의 다문화 정책에 대한 심층적 설명과 정치적 분석을 제공하려고 한다. ‘multiculturalism’으로 영역될 수 있는 다문화주의는 한국 정부가 외국인을 한국사회에 통합시키려는 정책으로 현재 규정되어있다. 현재 한국은 전인구의 97%가 한국인…
-
장로사2018한국 사회가 세계화와 더불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게 되면서 ‘多文化’는 더 이상 낯선 이야기가 아니다. 학교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생들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이 되었으며, 교실 내 ‘차이’와 ‘다름’의 존재는 다양성과 평등의 가치를 체득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학생들은 자신과 다른 피부색이나 언어를 지닌 이들과 ‘구별 짓기’함으로써 소통하지 못하고 있으며, 학교 현장의 교사들은 다양한…
-
김선근2013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한국은 이미 150만 다문화가정에 50개 종교 500개 종파를 이루고 있는 다문화(multiculture), 다종교 사회이다. 우리는 연기적 존재이므로 상의상생하는 마음으로 다문화. 다종교사회의 평화와 공존을 보장하는 인식을 만드는 것이 급선무다. 불자는 누구…
-
양정현2013교사교육연구근대인의 삶과 의식·관념을 가장 강력하게 규정했던 국민국가(nation-state)의 틀이 점차 균열, 이완되고 있다. 다민족 사회, 다문화 가정이라는 말이 자연스러워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사회 과, 역사 과의 방향 에 변화를 요구한다. 단일 민족, 단…
-
한기덕2013담론 201최근 한국사회에서 ‘다문화’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한국인의 외국인에 대한 차별적 인식에 대한 논의가 일고 있다. 그러나 그런 인식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여러 가지 주장들이 대중매체는 물론 학계에서도 제기되고 있으나 경험적으로 입증되지 않아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외국인에 대한 차별 인식이 어떤 담론적 틀에 바탕을 두고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밝히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
-
경혜영2013이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정책사에 관한 전반적인 흐름 속에서 나타난 조선의 향화인을 통해 다문화정책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선시대 향화인의 개념을 정립하고 조선시대 중기 향화인에 대한 정책의 내용과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향화인들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들이 이룬 다문화 가정교육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다문화 역사의 정책사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
-
최정원2013한일군사문화연구이토 세이(伊藤整)의 소설 『幽鬼ゆうきの街まち』의 배경인 홋카이도(北海道)의 지리적, 문화적 특이성을 본 연구에서는 작가가 생득적으로 체험한 다문화주의로 재해석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토 세이의 소설창작의 바탕이 되었던 요소로 자신이 직접 번역한 조이스 Joyce의 [율리시즈](Ulysses)의 관계를 후천적 다문화체험으로 파악하였다. 일본의 소수의 문학자들만이 [율리시즈]를 새로운 기법만을 평가한 …
-
이화정2013평화학연구이 연구는 재한일본인의 문화적응 모형을 개발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문화적응 유형의 도출과 다문화 적 수용태도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재한일본인들은 베리(Berry, 1997)의 문화적응 유형 중 제3유형, 즉 동화유형으로 개인이 한 국사회와의 관계를 긴밀히 유지하지만 일본의 문화적 정체성과 특성을 포기하는 유형, 제4유형, 즉 통합유 형으로 한국사회와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일본문화의 문화적…
-
이정은2012경제와 사회이 글은 중국동포들이 한국으로 이동하기 시작한 지 30여 년이 넘지 않은 짧은 ‘역이동(return migration)’의 역사에서 3D업종 노동자만이 아닌 새로운 범주의 조선족동포들이 등장하는 현상을 하나의 ‘경향성’으로 파악하여 재한조선족 사회의 ‘지위분화(differentiation of social status)’로 분석하였다. 그들의 지위를 (A) 엘리트·지식인 (B)중소자영업 (C)영세자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