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이랑2022역사문제연구In the 1910s, the education policy of the Joseon Governor-General was unemployment-centered based on ‘practicality and simplicity’. Therefore, Ke…
-
장우순2021한일관계사연구백암 박은식은 대종교의 민족사상을 기반으로 민족주의 역사관을 정립하였는데, 시라토리 구라키치가 창안한 대표적인 일제의 식민사관인 ‘만선사관’과는 전혀 다른 관점에서 만주를 한민족의 역사와 연결시킨 ‘大東史觀’을 주장하였다. 시라토리가 침략과 제국의 시각으로 만주를 이해하였다면, 박은식은 협력과 단결의 대상으로, 평화사상을 실천하는 교두보로 만주를 이해하였다. 박은식의 인식은 만주지역에 새로운 민족의 …
-
이승수2020한국고지도연구This article tracked the original materials used in Seobukgyedo's Manchuria and identified more specific production dates and certain information…
-
타이페이한2018만주국은 동아 역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인, 일본인, 조선인, 러시아인 등 다민족으로 구성된 괴뢰국가로서 동아 각 민족과 국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민족협화와 왕도낙토라는 건국이념을 내세운 만주국은 조선이나 일본의 지식인들에 의해 기적의 공간으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이미지의 배후에는 실제로 각 나라 지식인들의 민족적 욕망이 숨겨져 있었다. 1930년대 후반의 태평양전…
-
배성준2017人文論叢본 논문은 19세기 후반 왕립지리학회 기관지에 실린 7편의 여행기를 통하여 만주 및 백두산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형성되는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들 여행기는 만주의 지형과 지리에 대한 세밀한 관찰 및 측정을 동반하고 현지에서의 견문에 기반하였으며, 유럽적…
-
이병찬2016어문연구본연구는克齋魚允績의克齋手稿에수록된漢詩를대상으로, 격변의근대전환기지 식인의 고뇌를 안고 살아간 그의 漢詩가 지닌 문학적 성취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근대문학은 근대성과 한국의 정체성·독자성이라는 측면에서 주로 한글문학의 연구에 중점을 두어왔다. 때문에 근대문학의 한축인 한문학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간과된 것이 현실이다. 근대한문학은 근대성이라는 측면에서 부정적…
-
김성욱2013동아시아 문화연구이 글에서는 만주사변이후 당대의 지배담론인 ``五族協和`` 담론 자장 속에서 중국인을 형상화한 작품을 중심으로 소설 속 중국인 형상의 변화양상을 조선인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고, 중국인 형상의 변화양상이 지배담론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중국인 타자에 대한 조선인의 정형화는 다중적이고 모순적인 것으로 차이를 제공하는 동시에 차이를 부인하거나 가면으로 가린다. 이는 정형의 충족성이 항상 결…
-
조은주2013한국민족문화만주국 건국 이후 신경과 하얼빈은 국도건설계획사업과 신시가지 조성사업 등을 통해 개발이 가속화 되었고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근대 도시로 부상한다. 이 과정에서 신경과 하얼빈의 중심부와 주변부는 각각 지배 민족(일본)과 피지배 민족(백계 러시아, 조선인)의 집단거주지가 되었다. 이는 신경과 하얼빈의 식민지-도시로서의 성격, 즉 이데올로기적 도시로서의 성격이 단적으로 포착되는 장면이다. 이 글에서 살펴본 …
-
김응교2012한민족문화연구이 글은 만주에서 태어난 윤동주에게 고향은 어떠한 의미가 있었는지, 그리고 그의 고향의식은 어떠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지 분석한 논문이다. 첫째, 윤동주는 만주에서 태어났지만 그곳이 완전한 고향은 아니었다. 디아스포라로 공동체의 원래 고향인, 강 건너 남쪽을 그리워 한다. 이주민에 대한 시를 썼으며, 또한 남쪽을 그리워 했다. 둘째, 경성에 온 그는 반대로 조국은 아니지만, 자신이 태어난 만주 명동마…
-
오문석2012한국근대문학연구윤동주를 저항시인으로 규정하는 것은 단일문화적 주체성의 관점이 개입한 것이다. 이것은 근대문학사의 연속성 확보를 위해서 윤동주를 민족문학의 대표주자로 끌어들인 결과이다. 하지만 이때는 윤동주가 만주국 출신이라는 사실이 무시된다. 만주는 식민지 조선의 연장선상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문학의 연구대상이 유·이민자, 디아스포라, 다문화주의 연구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면서 만주를 바라보는 관점에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