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향화2015이화어문논집‘만주’는 제국주의에 의해 고향으로부터 추방당한 근대의 조선인이 희망과 절망을 반반씩 지니고 이주하여 새로운 삶을 지향했던 곳이다. 본고에서는 재만(在滿) 경험을 토대로 창작을 진행한 작가들이 ‘제2의 고향’으로서의 ‘만주’를 어떻게 서사하고 있으며 고향(조선)에 대한 작중 주인공의 인식의 변화과정을 통하여 특정한 작가의 특수한 ‘재만’의 경험에 주목하고자 한다. 동시에 이러한 특수한 ‘재만’의 경험…
-
한세정2015한국시학연구이 논문은 해방기 오장환 시에 나타난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을 살피고 그것이 그의 시 세계에 미친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방 직후 오장환이 번역한『에세-닌 시집』은 해방기 오장환의 시적 모색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창작시집보다도 먼저 간행된『에세-닌 시집』은 오장환이 ‘해방기’의 특별한 역사적 인식 아래서 기획적으로 번역한 창작물로 주목된다. ‘러시아 혁명’과 ‘식민지…
-
김응교2012한민족문화연구이 글은 만주에서 태어난 윤동주에게 고향은 어떠한 의미가 있었는지, 그리고 그의 고향의식은 어떠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지 분석한 논문이다. 첫째, 윤동주는 만주에서 태어났지만 그곳이 완전한 고향은 아니었다. 디아스포라로 공동체의 원래 고향인, 강 건너 남쪽을 그리워 한다. 이주민에 대한 시를 썼으며, 또한 남쪽을 그리워 했다. 둘째, 경성에 온 그는 반대로 조국은 아니지만, 자신이 태어난 만주 명동마…
-
구인모2008한국학연구1920년대 한국의 근대시는 ‘조선으로의 회귀’가 주조를 이루었다. 즉 조선이라는 지역과 조선문학도 근대문학과 세계의 중심이라는 신념이 점차 조선문학 내부에서 득세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세계의 중심으로서 서양 대 주변으로서 동양, 혹은 조선이라는 이분법에 근간한 로컬리티의 위계나, 이를 통해 형성된 심상지리의 탈구축을, 또한 조선이라는 지역의 재영토화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이 가운데에서 1…
-
서희원2007한국문학연구In this study, the reappearance of ‘Shilla’ discourses in popular songs was research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ecords, which had been r…
-
김은영2006한중인문학연구본 연구는 1949년부터 1992년까지 발표된 중국 조선족 시작품을 대상으로 시대변화 속에 구현된 '고향의 모습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중국 사회주의체제 하에서의 차별과 억압, 동화와 적응의 과정을 겪으며 창작된 조선족 시에 드러난 '고향'의 의미는 중층적 의미망을 형성한다. 먼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부터 문화대혁명이 끝나기까지 '고향'의 의미는 중국이라는 국가체제에 속한 소수민족으로서 생존을 위한 …
-
유인순2005강원문화연구철원출신 작가 이태준의 작품에 나타난 고향과 고향사람들을 주목했다. 그리고 고향과 고향이 작가에게 끼친 영향과 작가가 이들 고향과 고향사람을 통해서 무엇을 말하고 싶어 했는지를 보았다 . 나아가 작품의 공간배경을 지도상에 표기해 문학과 지역과의 관계를 보려고…
-
유인순2005강원문화연구철원출신 작가 이태준의 작품에 나타난 고향과 고향사람들을 주목했다. 그리고 고향과 고향이 작가에게 끼친 영향과 작가가 이들 고향과 고향사람을 통해서 무엇을 말하고 싶어 했는지를 보았다. 나아가 작품의 공간배경을 지도상에 표기해 문학과 지역과의 관계를 보려고 했다. 이태준의 고향에 대한 인식은 황금시대의 낙원이었고 민족주의 정신의 산실이었으며 문학 창작과 그 반성의 산실이었다. 그러나 일제의 식민정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