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경아2022韓國音樂史學報This article aims to reflect on the achievements left by Song Bang-song in chǒngjae research and to think about the remaining tasks, on the occas…
-
조경아2020무용역사기록학이 연구의 목적은 그림을 통해 조선시대 관아공간의 춤 문화를 읽어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관아공 간에서 춤추는 모습이 그려진 32종의 그림이며, 연구방법은 도상과 문헌 연구를 기본으로 하였다. ‘관 아공간’이란 중앙이나 지방의 관원이 정무를 보는 건물 공간을 말한다. 관아공간에서 가장 오래된 춤 그림은 〈알성시은영연도〉인데, 1580년(선조18)에 의정부에서 과거급제자 축하 잔치의 춤을 그린 것이 다…
-
윤은영2015궁중정재 춘앵전은 조선 순조 28년(1828)에 예제(睿製)되어 현재 재현 공연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주요 공연 종목이다. 춘앵전은 무용학계의 끊임없는 복원 노력으로 지금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전해지는 정재의 모습 중 그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궁중정재의 꽃이다. 그러나 복식분야의 정확한 수집ㆍ정리는 미비하였으며, 그 결과 현행 재현 공연에서 춘앵전 복식 복원 결과는 아쉬운 …
-
오혜경2006조선시대에 국가와 왕실의 각종 행사와 절차를 기록한 儀軌는 일종의 보고서로서 후대의 행사에 참고자료가 되었다. 의궤 중에서 宮中宴享을 기록한 의궤는 시대에 따라 豊呈ㆍ進宴ㆍ進爵ㆍ進饌ㆍ受爵 등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이 명칭들은 행사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궁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