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성결2017유가문화의 근원인 공자의 정신은 수 천 년 중국문화의 근원이자 중화민족사상의형성에 기초가 되었다. 개혁개방정책을 거친 중국은 이후 공자에 대한 위상이 새롭게 부활되었고, 그의 정신은 중국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중심사상으로 집중되었다. 공자의 사상과 철학은 중화민족 정신을 형성해온 전형적인 전통문화로서 중국이 꿈꾸는 미래의 대동 사회를 이루는 민중적 기반으로 다시금 자리 매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
-
박지선2016사람은 예로부터 복된 삶을 위해 하늘의 신께 정성스러운 예(禮)를 다해 제사를 올렸다. 복을 구하는 제사의식에서 하늘의 응답을 받기 위해서는 신(神)을 즐겁게 할 필요가 있었고, 이것은 악(樂)을 통해 이루어졌다. 하늘의 힘은 땅의 고대(古代)의 사람들에게 권선징악(勸善懲惡)을 적용시켰다. 천지(天地)자연의 이치에 근간한 예악(禮樂)의 일치를 일구어 덕(德)을 쌓아가며 착한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을 이…
-
BAILU2016문묘일무(文廟佾舞)는 중국에서 기원하여 오늘날 세계 여러 나라에 전파되어 그 영향을 과시하고 있다. 그 중 유가(儒家) 예악(禮樂) 사상의 상(象)인 문묘일무의 전승과 대외 전파는 매 시기마다의 정치・사회・문화 등 요소를 기초로 하고 있다. 문묘일무는 고려(高麗) 예종 1116년에 한국에 전파되었으며 한국의 정치・문화와 융합되어 다양한 양상으로 전승되어 왔다. 현재 한・중 양국이 거행하는 석전(…
-
이보름2016문묘일무는 공자와 역대 성현(聖賢)들의 위패를 모신 문묘(文廟)에서 그들의 학덕을 본받고자 제사 드리는 석전(釋奠)의식에서 추는 춤이다. 유가에서는 어려서부터 단계적으로 춤을 배움으로써 이를 통해 예악을 몸으로 체득하고 익히는 과정을 중요시 하였다. 자신의 욕망을 다스리고, 개개인의 수신(修身)에 의한 도덕적 인격완성의 교육방법으로써 일무를 이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문묘일무는 옛 성현들의 모습을 닮고…
-
유혜진2015논문요약 한국 문묘일무 춤사위의 원형고찰과 그 타당성 연구 문묘일무(文廟佾舞)는 유가의 예악사상(禮樂思想)을 웅숭깊이 간직하고 있는 춤으로, 석전대제(釋奠大祭)에서 추는 춤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소 춤사위가 변모되기도 하였으나, 성균관에서는 문무와 무무를 함께 봉행하고 있다. 문화유산은 우리에게 민족적 주체성을 갖게 하는 근원이자 뿌리가 되는 것으로, 원형을 잘 보존…
-
김영숙2008무용역사기록학우리나라의 현행 의례절차나 제례악은 중국으로부터 전해졌으나 중국의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한국화’ 되어져 전승되어져 왔다. 일무 역시 중국의 제도를 받아들여 오랫동안 우리나라에서 추어 오면서 우리의 독자성과 고유성을 살려 우리의 춤사위로 재현되어 추어왔다. 그러므로 한국의 문묘제례일무를 재현함에 있어서 어느한 시대에 재연되어졌던 기록만을 기준으로 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며, 한국적 공간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