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영채2018본 논문은 유학의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살펴보고, 수운은 왜 ‘수심정기(守心正氣)’를 새로운 인성수양의 기본으로 내세웠는지를 유학(儒學)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또한 수운의 하늘 숭배관(天神觀)을 전래 유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동이조선(東夷朝鮮)의 전래 원형사상의 관점에서 고찰하면서, 수운이 왜 ‘수심정기’를 다시 개벽의 ‘천도(天道)’ 혹은 ‘무극대도’라 일컫는 동학수행의 근간으로 내세웠는지를…
-
박상리2011유교사상문화연구Jeong Jae-du(1649-1736) and Jeong Yak-yong(1762-1836) who are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reinterpret the Works of Mencius b…
-
김경호2011유교사상문화연구이 논문은 도덕적 판단과 윤리적 행위의 문제를 자신들의 철학적 주제로 삼아 토론하였던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의 도덕감정론에 대해 논의한다. 도덕 감정론은 사단과 칠정에 대한 리기론적 해석을 담고 있는데, 인간의 도덕감정은 어떻게 드러나고, 그 발출의 근거는 무엇인가를 묻고 있다. 도덕규범의식을 정당화하면서 현상에서의 악이라는 왜곡과 일탈을 방지하고 극복할 수 있는 근거를 사단에 주목하거나, 아니면 칠정에…
-
손영식2008퇴계학과 유교문화(1) 맹자는 마음에서 대체(大體)와 소체(小體)를 주장한다. 대체는 ‘사덕→사단’으로 나오는 것, 즉 선한 본성이다. 성리학에서는 성즉리라고 하여 본성을 리로 보고, 그 리가 드러난다고 한다. 반면 소체는 몸에서 나오는 감정 욕망이다. 순자는 마음에 식욕과 성욕의 욕망, 혹은 그 욕망을 충족시키는 지각을 인정한다. 욕망과 지각은 하나의 근원을 가진다. 맹자는 이원적이라면, 순자는 일원적이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