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경2016모든 국가는 국민적인 의의에 입각하여 국가의 국민을 형성한다는 점에 중점을 둔 교육, 즉 국민적 의식화 교육을 행한다. 이는 국민이 국가의 구성체로서의 역할을 감당하기 위하여 국민으로서 마땅히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따위를 기르도록 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국가는 이러한 국민교육을 통해 국가가 추구하는 가치를 바탕으로 미래의 국가를 이끌어나갈 국민을 양성해 나간다. 일본이라는 국가는 그들의…
-
안홍선2015한국교육사학식민지시기 중등학교의 여러 교과목 가운데 수신, 일본어, 역사, 지리 등은 ‘국민성’ 양성과 관련된 핵심과목으로 분류되었고, 이후에 도입된 공민과도 이에 해당된다. 검인정교과서제도를 채택하고 있던 일본에서와 달리, 조선총독부는 이들 과목의 교과서만은 직접…
-
유철2015본 연구는 한일합방 이후부터 패전에 이르기까지 일제가 조선인 교화를 위해 어떤 교육정책을 펼쳤는지, 학교교육의 교과목(일본어, 체조, 창가)을 통한 아동의 교화와 전시가요(군가 및 엔카)를 통한 성인의 교화로 분류하여 고찰함으로써, 일제가 펼친 식민지 교화방식의 구체적인 실상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근대 서구의 신체철학을 바탕으로 변형된 일본의 신체이론을 당시 조선인 교화를 위한 교육…
-
안홍선2015근대적인 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한 대한제국의 노력은 좌절되었고, 통감부의 일본인 관료들 주도 하에 식민지적 교육체제가 수립되었다. 일본의 복선형 학교제도가 이식되었고, 실업교육을 위해서 중등 일반계 학교와는 구분되는 별개의 실업학교제도가 창설되었다. 이러한 실업학교제도는 큰 틀의 변화 없이 식민지 말기까지 유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해방 이후에도 후기 중등교육이 분화되는 교육체제로 이어져 오늘에 이르고 …
-
정선아2012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의 상징체계로서 한국 교표 디자인의 역사와 그 문화적 변용방식 및 과정을 살펴보는데 있다. 교표는 학교의 교육철학을 담고, 한 학교를 다른 학교와 구분시켜주며, 더 세부적으로는 그 학교를 다니는 학생의 소속감과 정체성이 시각화된 결과물이다. 한국사회에서 교표의 형식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익숙한 시각형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는지 그 기원을 살피기 위해 근대 조선에서 상징이 사용된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