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姜晉奎, 1920, 櫟菴集
    조선 시대 역암(櫟菴) 강진규(姜晉奎, 1817~1891)의 문집이다. 저자 사후 시대적 상황이 여의치 않아 유집을 가장(家藏)해 오다가 1920년에 아들 유(鍮)와 조카 용(鎔)이 동지 한두 명과 수교(讎校)하고 사문(斯文)의 증정(增訂)을 거쳐 원집(原集)을 6책으로 정리하고, 별집(別集) 1책을 붙여 목판으로 간행…

  • 姜必愼, 1840, 慕軒集
    조선 시대 모헌(慕軒) 강필신(姜必愼, 1687~1756)의 문집이다. 본집은 족질 세백(世白)이 산정한 고본을, 세백의 아우 세륜(世綸)과 외증손 정상리(鄭象履)가 교수ㆍ편차하여 1840년 윤자 세진(世晉)의 《경현재집(警弦齋集)》과 함께 활자로 인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6권 3책으로 되어 있다. 권두에 강세륜(姜世…

  • 姜必孝, 1895, 海隱遺稿
    조선 시대 해은(海隱) 강필효(姜必孝, 1764~1848)의 문집이다. 저자의 유문은 아들 강헌규(姜獻奎)와 문인 김소(金熽), 손자 집(鏶) 등이 편차하여 60권으로 만들었는데, 이를 손자 면(金+冕)이 종질 제(濟)와 함께 산정하여 20권으로 휘편(彙編)하고, 원집에서 빠진 것은 따로 속(續) 2권으로 만든 후에, …

  • 姜沆, 1658, 睡隱集
    한국문집총간 제73집 본 문집의 저본은 문인 윤순거(尹舜擧)가 수집ㆍ편차하여 1658년에 간행한 초간본의 보각본(補刻本)으로, 별집에는 과제(課製) 시문(詩文)이 실려 있다. 원집 4권ㆍ간양록(看羊錄)ㆍ부록ㆍ별집 합 4책(334판)의 목판본이다.

  • 姜渾, 1910, 木溪逸稿
    한국문집총간 제17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매제(妹弟) 어득강(魚得江)이 편집한 본이 유실된 후, 후손 필수(必秀)ㆍ태수(台秀) 등이 수집하여 1910년 진주에서 간행한 활자본이다.

  • 姜希孟, 1805, 私淑齋集
    한국문집총간 제12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10대손 주선(柱善) 등이 가전(家傳)된 寫本을 바탕으로 1805年 무장(茂長) 선운사(禪雲寺)에서 간행한 重刊本이다.

  • 桂德海, 1859, 鳳谷桂察訪遺集
    조선 시대 봉곡(鳳谷) 계덕해(桂德海, 1708~1775)의 문집이다. 본집은 아들 각문(珏文)과 손자 남저(南著)가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초사한 것을, 저자의 손자 남귀(南龜)가 김제면(金濟勉)의 교정ㆍ편차를 받아 1859년 활자로 인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12권 3책이다. 권수에 이시원(李是遠), 김영작(金永爵), …

  • 高敬命, 1617, 霽峯集
    한국문집총간 제42집 본 문집의 저본은 이항복(李恒福)이 산정(刪定), 편차한 원집과 유집(遺集) 및 유근(柳根)이 선정한 속집을 저자의 아들 용후(用厚)가 1617년에 간행한 초간본으로, 원집 5권, 유집(遺集) 1권, 속집 1권 합 6책(305판)의 목판본이다.

  • 高傅川, 1864, 月峯集
    조선 시대 월봉(月峯) 고부천(高傅川, 1578~1636)의 문집이다. 본집은 현손 고만기(高萬紀)가 1677년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고 6대손 시좌(時佐)가 1725년 선사한 후, 7대손 휘진(輝鎭)ㆍ면진(勉鎭)과 8대손 제원(濟遠) 등이 1861년 6대손 시홍(時鴻)의 교정과 기정진(奇正鎭)의 산정을 거쳐 …

  • 高尙顔, 1898, 泰村集
    한국문집총간 제59집 본 문집의 저본은 후손 영() 등이 가장초고(家藏草稿)를 바탕으로 수집, 편차하여 1898년 간행한 초간본(初刊本)으로, 5권 부록1권 합3책(202판)의 목판본(木板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