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종류별
  • 시대별
  • 주제별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Most recent publication year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호남지역 고려시대 기와 가마 출토 평기와 연구
    차인국
    2017
    중앙고고연구
    Previous studies have illuminated the patterns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Korea dynasty plain roof-tiles. In contrast, debates about the detailed properties and their change point in time remain unsettled. This is partly du…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만몽지리풍속지DB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삼국유사』의 찬술 기반
    채상식
    2017
    韓國史學史學報
    This paper survey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ompilation of Iryeon's Saumgukyusa. A variety of factors and circumstances in which he set o…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이규보 「開元天寶詠史詩」의 紀事 選擇과 構成에 관하여
    이희영
    2017
    漢文學論集
    This article explores Yi Gyubo’s historical lyric on the events during Kaiyuan and Tianbao period (開元天寶詠史詩) especially focused on its aspect of s…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고려시대 재가에 대한 검토-유교사상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박은경
    2017
    여성과 역사
    여성의 재혼을 의미하는 재가는 여성의 정절과 연결되며 부정적으로 인식되어왔다. 하지만 재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조선시대의 것으로 고려시대는 이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재가가 보편적으로 실시되었으며 남편의 사후 여성이 재가하는 것은 고려사…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고구려 ‘南平壤’의 실체와 출현 배경
    윤경진
    2017
    서울과 역사
    In this article, the traditional idea which believed that “South Pyeong’yang[南平壤]’ had been located in Seoul, the current capital of Korea, is cr…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용비어천가 국문 가사와 한시의 성립 순서에 대하여
    이근우
    2017
    民族文化
    This article aims to make clear the order of compilation time between Korean song and Chinese poetry in Yongbiŏch'ŏn'ga(龍飛御天歌, Song of the Dragon…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高麗末 權近의 使行과 그 의의
    김동석
    2017
    溫知論叢
    GuanKun[權近] had been to Ming[明] dynasty as an envoy. BongSaLok[奉使錄] is the document written by GuanKun[權近] during his journey. Through this book,…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조선 세종 초 마련된 상왕전 조알의식의 내용과 그 의미
    박경지
    2016
    역사민속학
    조회의식은 전통국가의 지배권력이 의례라는 행위양식으로 구현되는 전형적인 행사이다. 조선태종은 중앙집권적 체제를 완비하고 의례 제도를 정비하여 조선왕조의 국가의례 체제의 기틀을 만들었다. 그 중 조회의식의 정비는 어떤 요인에 의하여 변화되어 갔는지를 태종조와 태…
    #조회 #조하 #세종 #태종 #상왕전 #정지백관조하의 #전하조수강궁의 #문헌통고 #Chohoe(朝會) #Choha(朝賀) #The_abdicated_king #The_Rite_for_the_King_to_meet_theAbdicated_King #Wenxian_Tongkao(文獻通考)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고려시대의 서관(書官)
    이미숙
    2016
    韓國思想과 文化
    서관(書官)은 『고려사(高麗史)』 백관지에 의하면, 중앙의 26개 기관과 서경에 배속되어 있었다. 서관의 교육은 문종(文宗) 대 이후 국자감(國子監)에서 실시하였으나 국초에는 한림원(翰林院)에서 담당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해서내승지(楷書內承旨)는 남반…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초고층건축물의 기본계획 및 착공시 고려사항(Ⅰ)
    채용병
    2016
    조명.전기설비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First PagePreview Page12345678910Next PageLast Page총 391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