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종류별
  • 시대별
  • 주제별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Most recent publication year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한말 일제 초 단군과 고조선 인식의 체계화
    류시현
    2015
    한국사학보
    근대 민족 국가의 수립과 함께 민족공동체의 역사가 구성되기 시작했다. 한국 근대의 경우에도 민족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민족의 기원인 단군과 고조선에 관한 관심과 이해가 높아졌다. 구체적으로 단군은 우리 민족 정체성의 상징인 동시에 공동운명체 형성의 중요한 매…
    #신채호 #최남선 #단군 #고조선 #독사신론 #계고차존 #민족사 #Shin_Chaeho #Choi_Namson #Tan-gun #Ancient_Chosun #Toksasinlon #Kekochazon #National_History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만몽지리풍속지DB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여 · 몽전쟁기 변경민의 몽골 ‘체험’과 고려 조정의 대응
    이정란
    2015
    한국사학보
    1차 고려 · 몽골 전쟁 발발 이전 요동 지역에서 흥기한 다양한 정치세력의 병립과 각축으로 변경지대에는 국지적인 충돌이 일상화되었다. 전쟁의 일상화는 변경민에게 고려 백성으로서의 국가의식보다는 생존을 더욱 우선하는 가치로 여기도록 하였다. 본래 부터 고려인이자…
    #몽골 #변경민 #북계민(北界民) #여몽전쟁 #몽골체험 #전쟁의_일상화 #이중고 #무책임_정치 #압도적_물리력 #포선만노(蒲鮮萬奴) #동진국(東眞國) #우가하(亐哥下) #강화천도 #Mongolia #marginalized_people[marginal_man] #the_first_Mongol_invasion #routine_outbreak_of_war #double_hardship #irresponsible_politics #overwhelming_physical_force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원간섭기 국정운영과 都評議使司
    이정훈
    2015
    한국사학보
    이 논문은 원간섭기 지배체제가 구축되는 충렬왕과 충선왕대를 중심으로 親朝·在元 통치라는 새로운 정치 형태가 등장하는 과정에서 도평의사사의 역할을 살핀 것이다. 林衍 정권이 무너지고 왕정이 복고된 이후 원과의 관계 및 삼별초 난에 대한 처리 문제 등으로 재추 …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한국고대도시의 기원 연구
    박선미
    2015
    白山學報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and the origin of cities from the perspectives of archaeology and bibliography by reviewing research on settlemen…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고려시대 천시론적 급가제도와 연(年) 계(季) 월(月) 주기성 구조
    하수민
    2015
    정신문화연구
    The official history of Koryoe Koryoe‒sa(高麗史) records Kingdom of Koryoe had structural day‒off system which came every 4 quarters of a lunar mon…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동아시아 줄다리기와 한국 줄다리기의 유형과 계통 연구
    송화섭
    2015
    역사민속학
    한국의 줄다리기는 쌍줄다리기(고싸움놀이)․외줄다리기․게줄다리기․앉은줄다리기가 있다. 줄다리기는 한국에만 존재하는게 아니라 일본, 중국, 베트남,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에서 연행되는 의례행위이다. 동아시아 관점에서 한국의 줄다리기는 고싸움놀이형은…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고려 시대 차자 표기 漕運浦口名 未音浦/鹵水浦 해독
    이건식
    2015
    지명학
    이 글은 『고려사』 食貨志漕運조에 제시된 조운 포구명인 未音浦와 그 이표기인 鹵水浦를 해독하였다. 鹵水浦는 992년(고려 성종 11)개정 명칭이고, 未音浦는 이전의 명칭이다. 未音浦에 대한 국어학적 해독에 앞서 관련 자료를 충실하게 제시하여 未音浦가 오늘…
    #鹵水浦 #鹵水浦 #禿音浦 #내미음 #借字_表記 #Mieumpo(未音浦) #Rosupo(鹵水浦) #Dogeumpo(禿音浦) #‘naemieum(내미음) #phonetic_note_with_Chinese_characters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악정(樂正)에 관한 연구
    최선아
    2015
    溫知論叢
    우리나라에서 악정(樂正)이란 명칭은 『고려사』에 처음 등장한다. 악정은 고려 시대에 성균관(成均館)의 종4품 동반(東班), 조선 시대에 성균관의 정4품 문반(文班)의 관직명이자, 고려 아악(雅樂)의 등가(登歌)․헌가(軒架)에서 협률랑(協律郞)과 함께 의식을 진…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金代 賓禮를 통해 본 宋 · 高麗 · 夏의 국제 지위
    박윤미
    2015
    東北亞歷史論叢
    이 글은 금의 빈례를 분석하여 그 구체적인 구도와 절차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금에 입국한 송사, 고려사, 하사의 지위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동일하게 ‘외국사’로 표현되어 있지만, 동등한 지위에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
    #금(金) #빈례(賓禮) #외국사(外國使) #적례(敵禮) #번례(蕃禮) #International_position #Ceremony_for_guests #Bin-Li #Envoys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연구논문 : 고려 전,중기(918~1213)의 국왕 책봉(冊封)과 관복(冠服) 사여
    이민정
    2015
    한국의류학회지
    King and Crown Prince``s Gwanbok (冠服) written in『Goryeosa』Yeobokji was the bestowment of robesand crowns by the Son of Heaven who yielded hegemon…
    #『고려사 #高麗史』 #여복지 #輿服志 #관복(冠服)_사여 #고려_국왕 #高麗國王 #책봉 #冊封 #구석례 #九錫禮 #『Goryeosa』Yeobokji #Bestowal_of_robe_and_crown #King_of_Goryeo #Investiture #9-Bestowment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First PagePreview Page12345678910Next PageLast Page총 391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