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남이2022漢文古典硏究The people who had the authority and duty to discuss and implement the affairs of the state in the Joseon Dynasty were josa(朝士) as the “courtie...
-
박남식2016차문화ㆍ산업학Hanjae’s thoughts on the Dao of tea essentially embraces the theme of “mind” (心), emphasizing the unity between tea and mind(茶心一如) and spontane...
-
김성우2015지방사와 지방문화조선 성리학은 15세기 중?후반까지만 해도 경상도 선산지역의 지식인들이 주도하는 교육 활동을 통해 鄕學으로, 그리고 父子 간의 전승을 통해 家學으로 전수되고 있었다. 吉再가 선산 출신 제자들을 중심으로 교육 활동을 전개하고, 그의 제자 金叔滋가 아들 金宗直...
-
오세현2013조선중기의 ‘斯文’과 文章 四大家 吳 世 炫 조선중기 사상사의 과제는 성리학의 사회적 위상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전기와 후기의 조선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핵심적인 키워드인 ‘斯文’의 인식에 대한 변화가 중기에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文’의 독자적 가치를 유지하려 했던 노력들은 전기부터 지속되었는데 중기에 이르러서는 ‘道’의 가치를 최상에 위치시키려는 움직임 또한 ...
-
李九義2012남명학연구본고는 조선 중기에 살다간 藍溪 表沿沫(1449, 세종31-1498, 연산군4)의 작품에 나타난 그의 학문자세와 사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藍溪는 일찍 부모를 여의어 유년기의 그의 삶은 그다지 호화롭지 못하였다. 그러나 그는 훌륭한 스승과 좋은 벗들을 만났다. 특히 그가 태어나 24살 2월까지 살았던 咸陽은 그의 꿈과 희망이 깃든 곳이었다. 남계는 우리나라에서 한창 성리학이 성장할 ...
-
최영성2004退溪學과 韓國文化평생토록 '도학(道學)과 절의(節義)는 둘이 아니다'고 하는 주제를 가지고 학문에 임하였던 은봉(隱峯) 안방준(安邦俊 1573∼1654)은 조선 후기 유학사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전라도 보성(寶城) 출신으로, 조광조(趙光祖)·성혼(成渾)·이이(李...
-
이정화2004퇴계학과 유교문화누정시는 景物詩 가운데서도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퇴계학맥을 창도한 퇴계의 경우, 實景을 묘사하는 敍景은 하지 않고, 대상의 내재적 의미를 확인하거나 드러낸 시편이 많다. 퇴계의 嫡傳인 학봉의 누정시에서 寫景의 비중이 크지 않은 것은 그가 바로 스승퇴계...
-
이정화2004退溪學과 韓國文化누정시는 景物詩 가운데서도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퇴계학맥을 창도한 퇴계의 경우, 實景을 묘사하는 敍景은 하지 않고, 대상의 내재적 의미를 확인하거나 드러낸 시편이 많다. 퇴계의 嫡傳인 학본의 누정시에서 寫景의 비중이 크지 않은 것은 그가 바로 스승 퇴...
-
최영성2004退溪學과 韓國文化평생토록 '도학(道學)과 절의(節義)는 둘이 아니다'고 하는 주제를 가지고 학문에 임하였던 은봉(隱峯) 안방준(安邦俊 1573∼1654)은 조선 후기 유학사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전라도 보성(寶城) 출신으로, 조광조(趙光祖)·성혼(成渾)·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김인후(金麟厚)·기대승(奇大升) 이후의 호남유학(湖南儒學)의 정맥(正脈)으로 평가를 받는다. 그는 도학의 절의가 하나임을...
-
이정화2004退溪學과 韓國文化누정시는 景物詩 가운데서도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퇴계학맥을 창도한 퇴계의 경우, 實景을 묘사하는 敍景은 하지 않고, 대상의 내재적 의미를 확인하거나 드러낸 시편이 많다. 퇴계의 嫡傳인 학본의 누정시에서 寫景의 비중이 크지 않은 것은 그가 바로 스승 퇴계와 같은 도학적 시인임을 입증하는 것이 되며, 이것이 학본의 누정시와 퇴계의 그것에서 보여지는 공통된 특징이라 하겠다. 특히, 학봉은 스승 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