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세현2013조선중기의 ‘斯文’과 文章 四大家 吳 世 炫 조선중기 사상사의 과제는 성리학의 사회적 위상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전기와 후기의 조선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핵심적인 키워드인 ‘斯文’의 인식에 대한 변화가 중기에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文’의 독자적 가치를 유지하려 했던 노력들은 전기부터 지속되었는데 중기에 이르러서는 ‘道’의 가치를 최상에 위치시키려는 움직임 또한 ...
-
김인철2005퇴계학과 유교문화본고는 퇴계의 『聖學十圖』가 담고있는 自己修養의 학문적 특성이 그의 제자와 後學들에 의해 어떻게 계승ㆍ발휘되어졌는지 퇴계학파 학자들의 文集에 실려있는 箴銘類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하나는 道統觀과 관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