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모2021東方學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 문화 발전사에서 중추적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되는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관찬서와 개인 저술에 나타난 교의 명칭, 명칭의 분화, 명명법 특징, 제조·생산된 교의 종류 등에 관해 검토를 진행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 문화가 언제 어떤 과정을 거쳐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교에 관한 명칭이 어떠한 역사적 전개 과정을 거쳐 정착, 분화되었는지 분명히 알기 어렵지만 삼국시대에 이미 ...
-
조성환2016신종교연구근대한일사상사는 ‘종교’와 ‘국가’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아니다. 일본에서는 종교가 근대 국민국가 건설을 위해 도구적으로 사용된 반면에, 한국은 반대로 종교운동을 통해서 이를 저지하고 민중차원의 이상사회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일본은 천황제 지배체제를 옹호하는 수단으로 국가신도체제를 수립하였으며, 한국은 - 대종교와 같이 - 단군이나 하늘을 앞세워서 자신들의 민족적 아이덴티티를 ...
-
김우정2008泰東古典硏究이 글은 신식(申湜)의 용졸재(用拙齋)를 대상으로 비슷한 시기에 작성된 일련의 글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졸(拙)’의 의미를 추적함으로써, 그 문학적 담론화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고대 중국의 문헌에 나타나는 졸은 본래 졸렬함, 어리석음, 서툶과 같이 기예...
-
사토 아쯔시2006한국문화연구11세기에 활약한 의천(1055~1101)의 업적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송나라에 가서, 화엄, 천태, 계율, 유식, 선을 배운 것, 두 번째는 귀국 후 천태종을 개창해,『원종문류』,『신편집제종교장총록』,『석원사림』을 편찬한 것. 또 ...